교육부가 확정발표한 대학입시제도 개선내용들을 보면 기본골격을 유지하면서 첫시행결과 노출된 문제점들을 보완함으로써 시행착오를 바로잡아 부작용을 최소화하려고 노력을 한것이 돋보인다. 골격부터 뜯어 고치려는 성급한 변혁의 욕심을 자제해 수험생들이 큰 혼란없이 올해 대학 입시에 대비할수있게 됐다는것을 우리는 먼저 긍정적으로 보고싶다. 우선 가장 논란이 많았던 수학능력시험횟수를 1회로 단축한것과 불완전하기는 하지만 수리·탐구영역의 일부 출제를 3개계렬로 분리하기로 한것은 문제된 현실을 반영한 적절한 개선이라고 평가할만하다. 실수한 수험생들에게 기회를 한번 더 주자는 온정차원에서 도입된 2회시험제의 역기능이 너무 컸기 때문이다.
90%이상의 수험생이 두번 응시케되는데 따른 수험생과 학부모의 부담도 그렇고 출제범위가 다른 시험결과를 같은 평가자료로 삼겠다는 모순과 난이도조정에만 치중해야 하는 출제당국의 변칙성, 시험관리에 따른 과다한 경비의 지출등 단점들이 너무 많았던것이다.
개선책에서는 고교성적 내신제를 보완하는데 노력을 한 흔적은 있지만 결과는 기대 밖이었다. 상대평가에 의한 총점합산제방식의 문제점해소에는 접근을 못했고 지엽적인것들을 약간 개선하는데 그친것이 아쉽다. 고교내신제는 과목별 평가만을 고교에서하고 그중 어느것을 내신에 활용할것이냐는 대학에 맡기는 방안을 모색했어야했다.
개선책으로 도입된 전기대학의 입시날짜를 가·나·다식으로 3개로 나눠 치르게하는 「권장입시일」제는 해볼만하다고 본다. 지난번 전기대학입시에서 77.6%가 넘는 87개 대학들이 서울대입시날인 1월6일에 집중됨으로써 지원 미달사태와 2∼3복수합격에 따른 미등록의 혼란 현상을 빚은것은 「입시일정」만을 정해준 교육부의 일차적인 잘못과 서로 눈치나 보려는 대학들의 수준낮은 자률성이 초래한 자업자득이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대학들은 「권장입시일」제 마저도 대학의 자율권 침해라고 반대하기보다는 이제도를 활용하면서 대학의 자률성이 성숙했다는것을 입증해 보여야 한다.
또한 오는 입시에서 본고사를 치르기로한 47개대학들은 본고사과목을 선정할때 학생선발편의만을 고려해서는 안된다. 본고사과목선정이 고교교육현장에 미치게될 「교육적 기능」을 먼저 생각해야한다.
이번에 개선된 입시제도를 얼마만큼 실효성 있게 활용해 학생선발 권한을 확보하게 될것이냐는 책임은 이제 대학들에 돌아갔다고 보지않을수 없다. 대학입시에서 강조해야할 원칙은 다양성·자율성·공정성이고 이번제도에는 대학이 하기에따라서는 상당한 부분까지 가능할것으로 본다. 대학들의 수용의지와 자세를 관심깊게 지켜보고자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