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과 환경단체들에 의한 「강살리기운동」이 뜨겁게 전개되고 있다. 낙동강에서, 한강 금강 영산강에서, 보트를 타고 강을 오르내리며 오염감시도 하고 강물을 떠 수질검사도 하고 시민토론 마당도 여는등 일찍이 못보던 양상의 환경운동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이 운동은 지난날같은 일과성의 행사가 아니라 시민 스스로가 파수꾼이 되어 환경을 지키자는 본격적인 환경권 찾기운동의 신호다.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갖는다」 지난 세월 공업화와 생산성제일주의의 성장드라이브가 초래한 「업보」인 환경파괴의 심각함을 뒤늦게 인식해 헌법에 선언적으로 추가한 환경권조항(87년 개정헌법35조)이다.
국민들은 지난 신년초 그「환경권」이 철저히 우롱당하고 찢기는 충격적 사건을 겪어야 했다.
암모니아성 질소가 들어간 물을 마시고 구토를 하고 또 발암성 물질인 벤젠과 독성물질 톨루엔이 검출돼 경악하며 1천만명 영남주민들은 희망의 설계를 해야할 정초부터 물공포에 떨었다.
91년 3월 낙동강 페놀사태의 악몽을 겪은지 3년만에 이번엔 하류지역의 주민들이 오염수를 먹고 오염의 공포에 시달렸다. 그것은 많은 국민들에게 더이상 정부만을 믿고 앉아 있을 수만은 없다는 위기의식을 강하게 불러일으켰다.
언제까지 이처럼 오염된 물을 먹어보고 나서야 오염을 알고, 오염의 심각함을 몸으로 증거하는 「실험실의 삶」같은 일이 되풀이돼야 한단 말인가.
시민들은 나섰다. 『우리가 고장의 강물을 살리고 강물을 지키자』 낙동강 식수원 오염사태 후 곳곳에서 환경운동단체등을 중심으로 강살리기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대구에서는 대구환경운동연합이 중심이 돼 35개단체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달 21일 시도민궐기대회를 열고 환경파수꾼이 될것을 다짐했으며 이들은 곧 금호강 정밀조사단을 구성할 계획이다. 부산과 마산·창원지역에서도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운동이 활발하다.
금강지역인 대전권에서는 25일 각 환경단체회원들이 시민환경토론회를 열어 시민들의 환경인식을 고취시켰고 26일에는 전남도내 15개 민간환경단체와 명예환경감시원등이 총집결, 나주 영산대교밑에서 「영산강살리기결의대회」를 개최하고 강 전구간에서 보트를 동원, 선상 및 수중탐사를 벌인다.
서울서도 YWCA주부들이 수질환경감시단을 만들어 물감시에 나서는등 시민들의 의식이 고양되고 있고 경남 밀양군 하남읍에서는 막동향우회 회원1백여명이 하천감시원을 자원하고 나서는등 강살리기운동이 이제 중소도시·농촌지역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환경운동은 반체제운동으로 간주되던 유신시대와 5공시절에도 있었다. 당시 그것은 선구적이고 모험적인 일부인사와 단체에 의해 힘겹게 시도됐다. 그런 희생이 밑거름이 되고, 낙동강오염사태같은 충격이 경종을 울리면서 일부 단체중심에 머물렀던 환경운동이 이제 일반시민운동으로 비약하는 전기를 맞고 있다.
지금 한창 전개되고 있는 강살리기운동은 물을 살리자는데 그치지 않고 모든 공해와 오염의 위협에서 벗어나 인간다운 삶을 찾자는 본격적인 환경권수호의 운동으로 발전될 전망이고 또 발전되도록 해야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