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분뇨처리장 턱없이 부족/설비마저 노후… 대충대충 처리 1천만 영남지역주민들의 식수원인 낙동강수계는 전국에서 가장 오염이 심한 데도 이 지역의 오수를 정화해 주는 환경기초시설은 빈약해 수돗물을 만드는 원수의 수질악화를 부채질하고 있다.
낙동강상류지역인 경북도의 하수처리율은 93년말 현재 32%로 전국 평균 39%에 크게 처지고 있다. 경북지역의 하수종말처리장은 2곳에 불과해 시단위 이상에서 배출되는 하루 생활하수 50만톤중 16만톤만 처리되는 실정이다. 이때문에 생활하수 34만여톤 대부분이 지천을 따라 낙동강으로 흘러들고 있다.
대구지역은 하루 배출하수량 1백16만톤의 51.7%인 60만톤가량이 달서및 신천하수처리장에서 처리돼 낙동강으로 유입되며 나머지 56만톤은 그대로 금호강과 낙동강으로 흘러들어 하천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공장이 밀집한 경북·대구지역에서 공단지역내 폐수를 모아 최종 처리하는 공단폐수종말처리장은 남천폐수처리장과 달성공단폐수처리장등 3곳에 불과하다.
경남의 경우에도 환경기초시설이 열악해 하수처리장 2곳이 하루 1백31만3천톤을 처리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때문에 80%가량인 1백3만톤의 하수가 전혀 정화처리되지 않은채 매일 강물로 유입되고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하수처리장들은 1차처리시설밖에 갖추지 못하고 있어 하수처리의 질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분뇨처리장의 시설도 매우 낡아 기준치이상의 오수가 상습적으로 방류되고 있다.
공단폐수·생활하수외에 대구·경북지역에서는 하루 3천41㎘의 분뇨가 배출되고 있으나 67%인 2천38㎘가 중간처리단계만 거치거나 그대로 방류된다. 대구·경북지역의 28개 분뇨처리장가운데 16개가 설치된지 10년이상 됐으며 이중 대구와 포항처리장은 15년이상 노후된 시설이다.
또 규모가 영세한 상당수의 축산농가에서 자체처리를 거치지 않은채 소 돼지 등이 배출한 축산폐수를 그대로 흘려보내고 있다.
이처럼 환경기초시설이 크게 부족한데다 있는 것도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시·도가 운영하는 하수처리장중 상당수가 방류수기준치 이상의 하수를 흘려보내온 것으로 나타나 운영개선이 시급하다. 대구달서하수처리장은 지난해 2월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90.6PPM, 9월 32.6PPM으로 기준치(BOD 30PPM)를 초과해 하수를 방류했으며 경북경주하수처리장도 지난해 2월 1백3PPM의 하수를 방류, 기준치를 크게 초과했다.
그러나 위반사항이 드러나더라도 형식적인 개선명령만 내려 제대로 개선이 되지 않고 있다. 하수처리장들은 처리된 하수를 방류하면서 BOD등 일반항목에 대해서만 검사를 하고 크롬 시안등 유해중금속등에 대해서는 제대로 측정을 하지 않고 있다. BOD위주의 처리를 하고 있는 이유는 환경처가 대부분 BOD를 기준으로 하천의 등급을 매기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처는 이처럼 빈약한 이 지역의 환경기초시설을 대폭 증설키로 했으나 재원확보가 여의치 않은데다 지역주민들의 님비현상으로 차질을 빚고 있는 곳이 많다. 대구시의 경우 금호강 수질개선을 위해 신천, 낙동강, 북부, 달서천2차 하수처리장등을 예정보다 2∼3년 앞당겨 93∼94년에 완공할 계획이었으나 신천처리장만 지난해 완공됐을뿐 나머지는 재원확보가 어려워 사업추진이 부진한 상태이다. 밀양시 하수처리장건설계획은 이 지역 군의회등의 반발로 차질을 빚고 있다.
각 시·도는 담배소비세가 지방세로 넘어가면서 국비지원이 끊겨 하수처리장 증설에 애를 먹고 있는데 하루 하수발생량의 30.7%를 처리하는 수준인 부산의 경우 한해 하수도징수액 3백억원이 하수처리장 운영비와 인건비에 충당될뿐 1천억원이 넘는 하수처리장 신설재원을 마련할 길이 없다.
결국 환경기초시설을 대폭 증설, 낙동강으로 흘러들어가는 각종 오·폐수를 제대로 정화하지 않는한 낙동강살리기는 공염불에 그칠 수밖에 없는데도 버리는 물이 곧 마시는 물이라는 인식은 아직도 미미한 실정이다.【부산·대구·창원·마산=최연안·김인수·정광진·이동렬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