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처,22개 출연기관 연구체계 재조정 과기처는 최근 산하출연연구소의 연구체계와 조직등을 전면재조정해 연구소별로 기능과 특성에 맞는 분야를 전문화한다는 내용의 「출연기관특성화방안」을 발표했다.이 방안은 과기처산하 22개 출연기관 및 부설기관을 주요기능별로 분류하고 연구중심의 조직전환과 합리적 인력조정, 인건비현실화등을 통해 연구소별 특성화를 추진한다는 것이 골자다.
국가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과학전쟁」에서 우리 과학이 살아남을수 있도록 최전선에 있는 과학연구소들을 정예화하자는 것이 이번 방안의 취지다.
먼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표준과학연구원등 13개 기관은 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광주과기원은 교육·연구기관, 원자력안전기술원과 과학재단등 7개기관은 연구·규제지원기관으로 기능별로 분류해 각 기관의 고유기능에 맞게 인력 조직 재원등을 재편성한다는 것이다. 또 출연기관별로는 출연기관간의 중복되는 부분을 최대한 배제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수행중인 연구기능을 주기능과 부기능으로 재조정하게 된다.
이 방안에 따르면 출연연구소들은 국내외 최우수연구집단으로 탈바꿈하기위해 97년에는 5천3백11억여원의 총연구투자비를 지원받게 된다. 93년의 3천6억여원보다 2천3백5억여원이 늘어난 액수다. 1인당연구비도 4억3천5백만원에서 6억5천만원으로 확대된다.
이번 특성화방안의 가장 큰 특징은 연구기능의 극대화와 효율화에 있다.
과기처는 특성화방안에 따라 출연기관의 조직을 행정 및 세부기술분야위주의 실중심의 수직적인 단위조직에서 연구과제중심의 부단위 평면조직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연구기관의 경우 실단위가 폐지되고 부단위로 개편된다. 현재의 10센터 10단 84부 3백57실로 구성돼 있는 출연연구소의 연구부서조직도 특성화방안에 따라 97년까지 13센터 12단 74부로 대폭 바뀌게 된다. 당연히 연구소의 중심도 행정직과 관련된 보직자중심에서 연구책임자중심으로 옮겨지고 연구분야인력비중과 지원도 상대적으로 늘어날 계획이다.
각 연구소와 연구원들에게는 「적자생존」의 원칙이 적용되게 된다
김장관은 특성화방안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일등만이 살아남는 것이 과학기술분야』라고 강조하면서『국가과학기술의 일류화 국제화를 추진하기 위해 출연연구소에도 자유경쟁원칙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김장관은 이를 위해 『철저한 기관평가를 실시해 우수한 출연기관은 지원을 확대하고 낙오하는 기관은 축소 폐지를 유도해 과학인력의 정예화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천명했다.【김병주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