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를 탈퇴한다는 조건으로 복직신청을 내놓고있는 일부 해직교사들이 복직도 되기전에 새로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전교조의 15개 시·도지부장선거에 복직신청중인 해직교사 11명이 이미 후보등록을 마쳤다고 한다. 복직신청 교사들중 상당수가 투표에도 참가할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새로운 사태의 불씨가 될 조짐이 역연하다. 15개 시·도지부마다 복직신청중인 해직교사들이 전원 출마한다해도 그 숫자는 미미하다. 복직신청을 낸 1천4백22명의 1%에 불과하다. 또 「탈퇴를 조건」으로 하는 복직신청을 하고도 지부장출마를 결심했다면 복직을 스스로 포기한 결정임이 분명하다. 스스로 약속을 파기한 이들을 복직대상에서 「제외」한다해도 무슨 할말이 있겠는가. 사안이 별게 아니라면 아닐 수도있다.
그러나 우리가 해직교사들이 스스로 일으키는 문제에 대해 관심과 우려를 갖게되는 이유는 복직신청의 조건인 「탈퇴각서」가 단순한 절차만은 아니라는 사실 때문이다. 「탈퇴각서」야말로 4년5개월여에 걸친 전교조파동을 해결하는 절대조건이다. 「탈퇴각서」는 실정법상 위법단체인 전교조에서 「떨어져 나오겠다」는 약속이다. 정부쪽에서는 해체를 인정하는것으로 해석하는 정도다.
전교조집행부가 「탈퇴후 복직」이라는 정부측 조건을 수용, 해직교사들이 교단에 복귀할 길을 트는 결정을 내렸을때 우리가 「용단」으로 까지 환영했던것도 그 때문이다.
그러한 의미심장한 탈퇴각서확인란에 서명하여 복직신청을 냈던것인데,그로부터 한달도 채 안돼 탈퇴각서를 단순한 절차인양 가볍게 생각하고 2중적인 행동을 하는 해직교사들이 나왔다는것은 전교조사수파 이외에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않는다고 우리는 본다.
전교조에 그처럼 연연하고 애착을 갖는 교사들이었다면, 자신의 진심을 숨긴 위장된 마음으로 탈퇴각서에 서명하고 복직신청서를 내는 떳떳하지 못한 행동은 처음부터 안했어야 옳다. 만에 하나 탈퇴각서에 위장 의지나 타의로 서명, 복직후에도 전교조식 투쟁이나 교사답지않은 방식의 교육개혁활동을 지속하겠다는 해직교사들이 더 있다면 복직신청을 더 늦기전에 스스로 철회해야한다.
이번 사태에 우리가 염려하는것은 「위장탈퇴」교사들이 얼마나 많을것이냐에 있다. 그렇지 않아도 전국 초·중·고교교장단을 비롯한 기존 교육계는 해직교사들의 「위장탈퇴」를 의심해 선별복직을 요구하고 있다. 해직교사들의 지부장출마는 이러한 의심이 틀리지 않음을 입증하는것일 수도 있음을 알아야한다.
그 짧지않은 세월동안 쌓였던 불신과 반목등 갈등의 앙금을 씻는데 앞으로 복직하게될 교사들이 자숙하고 자중하는 노력을 더욱 많이 해야할것이다. 복직도 되기전부터 말썽을 일으키는 경솔함은 자제해야한다. 지금은 해직교사들이 복직에 대비하는 마음의 정리와 가르칠 준비에만 열중할 때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