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선진국에서는 대학교육이 그 이름에 걸맞게 정말 받을 가치가 있는가가 진지하게 성찰되고있다. 대학자체의 희소가치도 옛날과 달라져 있는데다, 과반수가 넘는 고교졸업생들이 진학하는 대학의 교육내용자체도 이젠 바뀌어야 하지않겠느냐는것이다. 이같은 선진적 성찰이야말로 교육효과나 인류의 미래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인류의 장래란 인류문화가 시작된 이래 축적된 지적 자산을 계승하고 더욱 발전시키는게 과업인 교육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대학교육은 그같은 선진적 성찰은 고사하고 대학이라 이름붙이기에 원초적으로 자격이 미달되는 요소가 너무나 많다. 그제 교육부가 소집한 전국 총·학장회의에서 지적된 일그러진 대학자화상이 그 증거이다. 구체적으로 시위·농성의 확산, 학생및 교수의 집단수업거부, 부실한 수업및 성적관리, 학습량부족, 교수품위저하및 채용부조리, 대학경영의 비효율성등의 문제들은 우리의 안이했던 대학교육이 이제 한계에 부딪쳤음을 드러낸것에 다름아니다.
왜 이 지경에 이르렀는가. 크게 네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얽혀있다 하겠다.
먼저 지적될게 대학자체의 기본요건결여이다. 자산·시설·인적구성및 사명감의 면에서 제대로 교육효과를 발양시킬수있는 조건에 미달하고 있는것이다. 나라살림과 경제가 커지면서 급격히 팽창한 인적자원소요를 내실보다는 숫자로라도 우선 채워야했던 간판사회의 모순이 대학의 기본요건이나 사명감에 앞서 대학간판만 잇달아 내걸게했던것이다.
다음으로 교육계 스스로의 자기반성결여이다. 대학의 자산·시설·요건이 부족하면 곧은 사명감으로라도 그 모자람을 메울 각오를 보였어야 했는데, 지나친 국민적 교육열이 빚은 폐해에 교육계마저 휩쓸린 감이 없지않다. 보따리장수식의 성의없는 강의, 뒷문입학공모, 관권눈치보기로 인한 자율성포기및 교육목표상실사태마저 빚었던것이다.
국민적·국가적 교육지원의 부족도 문제였다. 당장의 간판따기와 외적인 수요충족에만 국민이나 국가가 모두 정신을 뺏겨 실제로 지원을 하는데는 너무 무심했던것이다.
끝으로 당국의 관료주의와 이율배반적인 대학정책도 지적되어야 한다. 그 동안 당국에게 시국적 소요의 본산인 대학은 오히려 성가진 존재였을 뿐이다. 그래서 지원이나 자율성제고보다는 단속과 탄압에만 매달렸다. 그러고도 모자라 아직도 「엄격규제」 엄포인것이다.
결국은 모두가 공범인 셈이다. 이제라도 교육계가 앞장서고 모두가 동참해서 대학을 다시 세워야 한다. 「공부않는 대학」은 대학이 아니고, 지원은 않고 간섭만하는 당국은 교육부란 이름을 바꿔야 할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