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보·정정 줄었으나 반론권제한은 여전 한국기자들중 올해 정정기사를 써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전체의 16.4%로 89년 27.1%, 91년 26.5%보다 크게 떨어졌지만 피해자의 반론권은 77%가 보장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는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연구원이 고려대부설 신문방송연구소(소장오택섭교수)에 의뢰해 7월12일부터 2주간 전국 신문·방송사에 소속된 기자 7백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제3회 전국 기자직업의식조사」에서 이같이 나타났다.
오보와 관련해 정정기사를 써본 횟수도 올해 조사에서는 1인당 평균 1.8회로 89, 91년 2.0회보다 줄어든것으로 나타나 오보와 정정기사의 빈도는 예년에 비해 상당히 적어진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피해자의 반론권보장이 안되고 있다는 응답은 89년 78.9%, 91년 74.5%와 비교해 별로 개선되지 않은것으로 나타났다. 오보의 원인은 39.5%가 「매체간의 지나친 경쟁」이라고 대답함으로써 89, 91년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었던 「기자의 부주의」보다 16.8%나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인권침해를 야기하는 원인으로는「상업주의에 의한 매체간의 지나친 경쟁」이 33.5%로 가장 높았으며 「언론인의 전문적 지식 및 윤리결여」가 29.3%, 「제작상의 압박」이 12.7%순이었다.
기자들의 촌지수수에 대해 응답자의 74.7%가 「있다」고 답해 촌지관행이 남아 있는것으로 나타났지만 89년 92.6%, 91년 96.3%에 비해 급격히 줄어드는 추세였다.
사이비기자가 근절되지않는 이유는 55.1%가 언론사의 부실한 재정과 사주의 무책임한 경영방침을 꼽아 기자들의 윤리의식결핍과 타락(35.5%)보다 많았다. 사이비기자근절방안은 현행법률을 통한 규제(42.4%),언론단체및 기자의 자율정화(35.8%), 공보처및 관련부처의 적극적 대응(21.8%)등으로 의견이 분분했다.
언론의 자유도는 10점만점에 89년 6.2, 91년 6.0에 이어 올해 7.0으로 높아졌으며 언론의 자유도는 기자의 직위와 연령에 비례해 높이 평가한것으로 나타났다. 기사수정과정에서의 영향력은 데스크가 66.1%,보도·편집국장이 16.1%순이었다.
우리나라 언론인의 직업만족도는 75.4%가 만족했으며 전직의사는 89년 11.1%에서 91년 10.9%로 줄어들었다가 올해 16.7%로 크게 늘어났다.
한편 이번 조사대상언론인 7백27명중 남자가 91.8% 여자가 8.2%였는데 여기자의 비율은 89년 7.1% 91년 7.4%에 비해 점점 증가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또 월평균수입은 1백1만∼1백50만원대가 40.5%로 가장 많았고 1백51만∼2백만원대가26.5%, 51만∼1백만원대가 13.3%, 2백1만∼3백만원대가 11.7%였다.
설문항목중 빈도가 압도적인 내용만 간추려본 결과 한국언론인의 전형적인 모습은 무종교의 36.7세 대졸자며 수입은 1백1만원에서 1백50만원사이의 남자다. 그리고 10년의 언론계경력에 노조에 가입했으며 수습생활이후 2회이상 부서이동을 경험했고 하루평균 1건이상 스트레이트기사와 일주일에 3건정도의 기획기사나 해설 칼럼을 쓰고있는것으로 나타났다.【송용회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