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례따라 선 제의 북서 먼저 서울 올듯/남측 박관용·한완상·정원식씨등 거론남북한이 특사교환 형태의 대화에 사실상 합의함에 따라 쌍방의 정상이 임명한 사절이 서울과 평양을 방문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번 특사교환은 밀사(emissary)가 아닌 공개된 특사(special envoy)라는 점에서 남북대화의 최초 사례다.
특사의 임무·성격·교환방법 및 시기와 관련,우리측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실무접촉을 통해 북한측의 의견을 존중,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북한측 제의를 전면 수용한 이유 자체가 북한을 일단 대화의 장으로 끌어들이자는데 있는 만큼 불필요한 조건을 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우선 교환의 방법에 대해서는 서울과 평양을 쌍방 특사가 동시에 방문하는 경우,한쪽의 특사가 먼저 상대방 수도를 가는 시차교환,특사끼리 판문점 등 제3의 장소에서 회담을 갖는 경우 등 3가지가 검토되고 있다. 제3의 장소에서의 회담은 이번 특사교환은 성격이 「최고위급의 중대한 뜻을 전달하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에 가능성이 희박하다. 동시교환도 현재 현안들의 복잡성을 감안한다면 타당한 방법이 아니라는 분석이다. 결국 특사들은 72년의 「7·4 공동성명」 직전처럼 시차를 두고 쌍방의 수도를 오가게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 경우 먼저 북한측의 특사가 서울에 오게 될 가능성이 크다. 특사는 제의한 측에서 먼저 파견하는 것이 하나의 관례이고 북한측이 5월25일 강성산 정무원 총리명의의 전통문을 통해 이를 선 제의했기 때문이다. 72년 당시에도 먼저 회담을 제의했던 이후락 정보부장이 5월2일 먼저 평양에 갖고 뒤이어 북한측의 박성철부주석이 서울에 왔다.
우리측은 첫단계의 특사회담에서는 의제를 최대한 핵문제에 집중시킨다는 복안이다. 북한이 당초 특사교환을 제의했던 진의는 이 단계에서야 윤곽이 잡힐 전망이다. 김 주석의 친서에는 흡수통일을 포기한다는 확실한 보장을 요구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을 것으로 보는 시각들이 많다.
정부 관계자들은 특사의 임무와 성격을 『꺼졌던 엔진에 다시 시동을 거는 역할에 한정된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전면 중단된 대화를 재개하는 물꼬를 튼뒤 주요 합의는 남북 고위급회담의 틀로 다시 넘긴다는 것이다.
한편 관심의 초점인 「누구를 특사로 임명할 것인가」하는 문제에 대해 정부는 복수의 선택안을 갖고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실무대표가 차관급인 만큼 최소한의 장관급 이상의 인물로 자격이 한정돼 있는 상태. 정부는 이번 특사교환을 가급적 성사시킨다는 방침에 따라 북한측이 「비당국자」를 특사로 임명하자고 제의해올 경우 이를 수용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따라서 「당국자」를 특사로 임명할 경우 박관용 대통령 비서실장이 가장 유력하게 거명되고 있고,조심스럽게 한완상부총리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비당국자」일 경우 정원식 전 총리 최호중 전 부총리 이홍구 평통 수석부의장 등이 거명되고 있다.<유승우기자>유승우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