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진상규명 바라는 「삼청투쟁위」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진상규명 바라는 「삼청투쟁위」

입력
1993.06.21 00:00
0 0

◎“「사회악」 억지멍에 이젠 벗겨줘야”/새정부 개혁의지 강한 희망/“반민주적 인권유린 밝혀주길”서울 마포구 도화1동 시장통에는 지난 13년간 아무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삼청교육 피해자들의 초라한 연락사무소가 있다.

3∼4평 좁은 공간에 책상과 전화기·복사기만 갖춘 이곳 「삼청교육대 진상규명 전국투쟁위원회」 사무실에선 요즘 통한과 오욕의 시절을 규명하고 명예를 회복하려는 실낱같은 희망이 되살아나고 있다.

88년 6월 출범한 투쟁위원회는 피해당사자와 가족 등 3천여명이 회원으로 가입해 있고 전국에 34개 연락지부를 두고 있으나 지난세월 활동마저 자유롭지 못했다.

동생 형수씨(80년 당시 26세)가 야당당원이었다는 이유로 삼청교육대에 끌려 갔다가 후유증으로 퇴소,6년만에 숨진 위원장 한선수씨(53)는 대전의 가족들과 떨어져 89년 7월부터 아예 이곳에서 숙식을 하며 총무 임옥순씨(48·여) 등 10여명과 함께 울분을 토해왔다.

이들이 원하는 것은 철저한 진상규명. 반민주적·탈법적 인권유린사건이었던 삼청교육대의 실상이 낱낱이 밝혀지면 명예회복·책임자처벌·피해보상이 차례로 이루어질 것으로 믿고 있다.

그동안 한 위원장 등은 5백여번이나 국회를 찾아갔고 의원회관 앞에서 연좌시위도 10여차례 벌였다. 상도동 김영삼대통령집 앞과 동교동 김대중씨집 앞에서 농성도 했다.

89년 2월부터 청와대·국회·국방부 등에 보내기 시작한 탄원서·질의서만도 30여건이 넘는다.

그러나 『검토하고 있다』 「특별법이 만들어지지 않아 현재로는 불가능하다』는 답변뿐이었다.

지난 시절의 그릇된 역사를 바로 잡으려는 새정부의 의지에 이들은 마지막 희망을 걸고있다.

지난 15일 대통령과 민주당 이기택대표와의 면담에서 삼청교육대문제가 거론된 것만으로도 이들은 흥분하고 있다.

생업을 포기하고 갖은 냉대와 설움을 감수하며 피해보상을 위한 민사소송 비용으로 회비마저 바닥난 이들은 이제 사무실을 유지하기 힘든상태다.

한 위원은 『지금도 한달에 1∼2명이 후유증으로 죽고 있다』며 『「사회악」이라는 멍에를 둘러쓴 선량한 피해자들을 정부나 국회가 외면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최성욱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