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협 때부터 통일운동 주도/임양 방북·범민족대회등 계획지난 5월29일의 남북학생 전화회담과 한총련에 대한 이적성 검토가 본격화되면서 대학가의 통일운동을 주도해온 한총련 산하 조통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검찰은 김춘도순경 사건이후 즉각 한총련의 이적성을 조사한다는 「공세적」 입장을 취했으나 이후 이적성의 초점을 조통위로 특정했다. 한총련을 이적단체로 규정할 경우 이에 소속된 전국 1백83개 총학생회 모두를 이적단체로 몰아세우는 법률적 난점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조통위의 공식명칭은 「조국의 평화와 자주적 통일을 위한 위원회」로 「학원자주화 추진위원회」(학자추)와 함께 한총련의 2대 특별기구다.
위원장은 남북학생 전화회담으로 이미 수배된 김병삼 연세대 총학생회장(24)이 맡고 있고 한총련 회칙상 「시행세칙을 둘 수 있다」고만 명문화돼있을뿐 내부조직과 조직원에 대해선 알려진바 없다.
조통위의 모태는 88년 「8·15 남북학생회담」 추진을 앞두고 당시 서울대 총학생회장에 입후보했다 낙선한 김중기군(28)을 중심으로 결성됐던 조통특위.
이후 통일운동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는 NL계열이 학생운동의 최대 대중조직인 전대협을 장악하면서 조통위가 전대협 산하 특별기구로 설치되고 산하조직원만도 2천여명을 넘게 됐다.
이때부터 전대협은 88년 8·15 남북학생회담 추진에 이어 89년 평양축전 임수경양 파견,90년 범민족대회 추진 등 통일운동에 박차를 가했고 이는 모두 조통위에서 입안됐던 운동방향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대협의 후신으로 지난 5월 결성된 한총련도 정치투쟁일변도 탈피와 평화적 운동방식을 대외적으로 천명하고 있으나 「전대협의 영예이자 학생운동의 빛나는 과업인 통일운동과 조통위」는 그대로 계승했다.
전대협 시절과 마찬가지로 한총련 산하 조통위는 통일의 전제조건으로 ▲주한미군 철수 ▲국가보안법 철폐 ▲남·북·해외 대표들이 결합한 연방정부 구성 등을 내세워 통일논의 창구 단일화를 견지하는 정부와 정면으로 맞서 실정법 위반소지를 처음부터 안고 있었다.
조통위는 「조국의 평화실현과 자매결연을 위한 예비회담」을 지난 12일 판문점에서 강행하려다 봉쇄되자 김춘도순경 사망의 발단이 된 가두시위를 벌였었다.<유승호기자>유승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