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대세… 물갈이로 갈 것” 위기감민자당에 소리없는 아우성이 일고 있다. 의원·당직자의 재산공개를 앞두고 「부자의원」들의 동요가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박양실 보사부장관의 부동산투기 사건이후 당일각에서는 위기감까지 확산되고 있다. 재산공개가 깨끗한 정치로 가는 당연한 수순임에는 틀림없지만 결국은 정치권 물갈이로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그러나 그 누구도 재산공개의 후유증이나 파장을 거론하지 못하고 있다. 새정부가 개혁을 「윗물」부터 시작하고,첫 「단추」를 재산공개로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들도 이를 개혁정치의 당연한 절차로 받아들이고 있다.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다가온 재산공개는 의원 개개인의 차원을 넘어 정치행태 및 정치구도까지도 변화시킬 가능성도 많다. 이 제도가 제대로 시행될 경우 부동산투기 수뢰 등 불법적인 방법으로 축재를 한 정치인들은 도태될 수 밖에 없고 일부 정치인들의 권력형 부정축재가 앞으로는 사실상 차단될 가능성이 높다.
○…재산공개의 파장을 가늠해보는 시각은 계파간에 차이가 있다. 과거 야당을 했던 민주계는 상대적으로 재산이 적어 크게 부담을 느끼지 않는 분위기다. 민주계의 최형우 사무총장은 『내 재산은 국민들이 믿지못할 정도로 좁쌀만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구 민정계는 오랜기간 여권에 몸담아 오면서 민주계 보다는 「넉넉한」 재산을 형성해왔기 때문에 심각하다. 민정계에는 수십억원서 수백억원대의 거부 의원이 적지 않다는게 정설이다. 이들 의원들은 자신들의 재산규모가 국민감정에 부합되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그렇다고 불성실한 신고를 할 수도 없는 분위기다. 공개후 감사원 국세청 건설부 등을 통해 철저한 실사가 실시될 것이라는 엄포가 청와대로부터 흘러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세청의 전산망에 부동산 내역이 체계적으로 입력돼있어 의원들은 어설픈 재산은닉이 정치생명의 종언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잘 알고 있다.
우선 기업운영 유산 등 뚜렷한 소득원천이 없이 부를 쌓은 의원들이 여론의 도마에 올라 정리될 가능성이 높다. 만약 탈세·탈법·투기를 일삼아온 의원들의 수가 예상수준을 웃돌 경우 정치쇄신의 요구가 거세게 일수도 있다.
이런 여론이 당장 현실화되지는 않더라도 15대 국회의원선거 때는 공천과정과 유권자의 선택을 통해 「문제의원」들이 걸러질 공산이 크다.
○…재산공개가 임박하면서 어느 의원이 최고부자이며 의원별 재산은 얼마나 될지에 지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당실세 중진이나 기업체를 소유한 겸직의원,그리고 금융계 경제부처 출신의원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민주계의 「적은 재산」도 관심대상이다.
우선 기업오너 및 기업인 출신으로는 김광수(대한교과서) 김동권(쌍마섬유) 김문기(상지대) 김인영(인영약품) 김진재(동일고무벨트) 남평우(경남여객) 박재홍(동양철관) 배명국(장복건설) 심정구(선광공사) 오장섭(대산건설) 이승무(봉명그룹) 이현수(유진실업) 조영장(삼용산업) 정필근(일동제약) 최돈웅의원(경월소주) 등이고 전문경영인 출신으로는 김채겸(쌍용그룹) 이명박의원(현대건설) 등이 있다. 또 부인이 기업체(오리지날 리)를 운영하는 박주천의원도 부자그룹.
금융계 경제부처에서 잔뼈가 굵어온 나웅배 유돈우 이승윤 정재철 금진호 이원조의원들의 재산도 적지 않으리라는 얘기가 많다.
이와함께 재력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진 강신조 박규식 박우병 이상득 조진형 정재문 정호용 송두호의원 등의 재산규모도 벌써부터 관심거리.
또한 5·17때 부정축재로 재산을 환수당했던 김종필대표와 오랫동안 정치를 해온 박준규 국회의장 김재순 전 국회의장 권익현 전 민정 대표 김윤환 이한동의원의 부도 궁금한 부분이다. 민주계에서는 김운환의원이 부자그룹에 들어있고 민주당에서 탈당해온 임춘원의원의 재산도 시선을 끌고 있다.<이영성기자>이영성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