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9개 원자력발전소에 설치된 28개 원자로중 15개가 86년 체르노빌에서 파손되어 대량 참사를 일으켰던 구식의 RBMK형이라니까 언제 또 대형사고를 낼지 모르는 위험물들이 그 나라 도처에 널려있는 셈이다. 구 소련시대부터 그들의 원자로가 서방측 안전기준에 훨씬 미달하는 위험한 상태에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러시아측은 그런 구형원자로를 폐기할 경우 모자라는 동력에 따를 손실이 무려 6백억달러나 되어 엄두를 못내고 위험을 무릅쓰며 그대로 운영을 계속한다. 체르노빌 사고때 반경 1천6백㎞ 범위의 변두리에 위치한 노르웨이는 각종 식료품에서 갑자기 대량의 방사능이 검출되어 크게 놀란 경험을 가지고 있다. ◆노르웨이 북쪽 해안에서 5백㎞쯤 떨어진 바렌츠해의 한곳 1천5백m 해저에 89년 4월 화재로 침몰한 구 소련 핵잠함 콤소몰레츠호가 누워있다. 바로 그 바렌츠해엔 구 소련이 59년부터 91년까지 32년간 19만1천㎥나 되는 핵폐기물을 버려왔다고 알려져 있다. 이래저래 노르웨이와 인접국가들은 신경이 잔뜩 날카로워져 있다. ◆그동안 북한의 핵개발은 기술이나 시설 등에 걸쳐 대부분 구 소련에 의존해왔다. 개발의도에도 문제가 있거니와 안전수준에도 문제가 있다고 봐야 한다. 최근 러시아는 이란에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키로 했다지만 그 시설운영은 국제감독하에 두게 돼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북측은 안전기준을 충족시키기에 충분치 못한 수준에 있으면서 IAEA의 특별사찰에 대해서는 「자위조치 운운」하며 거부 기세를 보인다. ◆14일 미국의 한 핵전문가는 북한이 IAEA의 사찰을 계속 거부할 경우 91년말 한국에서 철수했던 핵무기들이 재배치되는 상황이 벌어질지 모른다고 우려했다.(한국일보 15일자 석간 1면). IAEA의 제재,안보리에서의 사안취급,동북아지역의 긴장고조,북측의 안전수준… 그 어느 대목을 봐도 북측은 태도를 고쳐 사찰에 응해야 마땅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