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표가 없는 민주당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당내 민주화를 위한 각종 제안이 잇따르고 있고 이미 정당사상 처음으로 원내총무 경선제 도입이 결정됐다.무엇보다도 각종회의 분위기가 현저하게 달라지고 있다. 의견개진이 활발하고 지도부의 견해도 공개적으로 반박당한다.
3월 전당대회 문제를 집중 논의한 3일 상오의 당무회의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기택대표가 전날 심야 최고위원 회의의 합의사항을 설명하자마자 여기저기서 거침없는 반론이 터져나왔다.
이해당사자인 최고위원들의 면전에서 『최고위원 수가 너무 많으니 대폭 줄이자』는 주장이 우선 제기됐다. 집단지도체제를 하자면서 현재의 8명 틀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것은 논리적인 모순이라는 주장이었다.
또 최고위원의 「4인 연기명」 투표방식에 대해서도 『8인 모두를 연기명해야 대의원들의 선택권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반론이 나왔다.
특히 원내총무 경선제 도입과 관련,『총무경선은 당연하다. 그러나 최고위원 회의가 총무 해임권을 갖는 것은 안된다. 해임요구권만 갖고 최종 결정권은 의원총회가 다시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됐다.
그런가하면 『다양한 의견 반영을 위해서는 최고위원을 8명으로 유지하는 것도 좋다』든가 『우선 그대로 두뇌 2년후에는 4명으로 하도록 미리 정해두자』는 재반론,또는 절충론도 잇따랐다.
또 『특정세력이 담합해 최고위원을 독식하는 것을 막으려면 「4인 연기명」 방식이 필요하다』 『선출된 총무라도 최고집행기관인 최고위원 회의의 지휘감독하에 두어야 한다』는 현실론도 만만치 않았다.
결국 이날 회의는 이처럼 다양한 의견들을 전당대회 준비위가 참조해 당헌개정안 초안을 만들고 당무회의가 다시 심의해 최종안을 확정하기로 하고 끝났다.
최고위원 회의의 결정을 「자동추인」하던 과거와는 너무도 달라진 모습이었다.
그러나 이같은 변화를 민주적인 것으로 규정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바람직한 변화인지 「포스트 DJ증후군」으로까지 불리는 혼란상인지는 민주당이 앞으로 하기에 달려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