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부터 조짐… 올해 본격화”/95년까지 구직수요 2백만명 늘어나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기업들이 자동화 및 감량경영의 일환으로 고용인원을 줄여가는 추세가 뚜렷해지면서 대량 실업사태의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20일 재계에 따르면 대량 실업사태의 조짐은 지난해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올해를 기점으로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럭키금성 경제연구소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1월부터 11월까지) 국내전체 신규 취업자수는 19만3천여명에 그쳐 전년도의 59만6천여명에 비해 32%수준으로 급감했다.
관계전문가들은 경기침체로 인해 기업들이 신규채용 규모를 대폭 줄인데다 생산자동화·사업구조 조정 등으로 기존인력을 감원했고 중소기업이 무더기 도산하는 바람에 신규취업자수가 줄었다고 지적했다.
삼성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지난해 도산한 중소업체가 1만여개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1개업체당 20명이 실직했다고 가정할 때 20만명이 일자리를 잃은 셈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실업사태가 올해도 이어질 것이 확실하다며 이런 추세가 앞으로 2∼3년만 계속되면 본격적인 대량 실업사태가 심각한 사회·경제적 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경련 부설 한국경제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관련연구 보고서에서 90∼95년중 15세에서 20세까지의 신규경제활동인구가 4백만명가량 증가하게 되지만 55세에서 60세까지의 퇴출경제활동인구는 2백만명정도에 불과해 이기간중 2백만명의 구직수요가 늘어나게 된다며 이에 비해 구인수요는 오히려 줄어드는 추세여서 대량실업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관계자들은 여성과 고령자들의 취업희망도 갈수록 늘고 있어 구직난을 더욱 가중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이같은 대량실업사태의 대책에 대해 관계전문가들은 7∼8%대의 성장회복과 인력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한 중장기적인 정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한국 경제 연구원의 이수희 선임연구원은 『연간 40만명에 달하는 신규인력 흡수를 위해서는 연간 경제성장률이 최소한 7%이상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중 실업률은 2.4%로 전년에 비해 0.1%포인트 증가에 그쳤는데 재계전문가들은 1주일에 1시간만 일해도 취업자로 간주되는 현행 실업률 산정방식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송태권기자>송태권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