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신임바탕/개혁 가속화할듯북한은 강성산 신임총리를 재기용함으로써 향후 국가정책의 기조를 경제개발·개혁에 치중할 것으로 관측된다.
강 신임 총리는 지난 84년 총리로 재직할 당시 북한의 대외개방 및 외국투자유치를 위해 합영법을 제정한 장본인. 강 총리는 이후 합영법 시행의 실패에 따른 문책성 인사로 총리직에서 물러났으나 함북도당 책임비서겸 인민위원장으로 있으면서 지역·실물경제에 대해서도 정책입안 및 수행에 굵직한 역할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간중 강 총리는 나진 선봉지구 개발 등 두만강 지역개발을 창안,대외경제 개방정책의 대표주자로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강 총리는 김일성 김정일의 신임을 다시 얻게 됐다는 것이다.
따라서 북한의 강 총리 기용은 경제난 극복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북한 당국의 의도를 반증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11일 이와관련,『강 총리는 두만강 경제특구,선봉자유무역지대 설치를 추진하는 등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경제정책을 펴왔다』며 『특히 강 총리가 김일성주석으로부터 상당한 신임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북한이 경제분야 정책을 보다 개방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강 총리 기용과 함께 김달현과 김용순을 각각 당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승격시킨 것도 경제개방을 포함,대외정책 부문에 비중을 둘 것으로 여겨지게 하는 대목이다. 김달현은 서방 자본주의국가와의 교류를 주장해왔고,특히 남북 경제협력에 깊은 관심을 가져온 인물. 그는 지난 7월 서울을 방문,남북 경제협력 가능성에 대한 현장답사까지 한 적이 있다. 또한 김용순은 미국·일본과의 관계정상화를 담당해온 장본인이다.
이들 모두 북한내 개방파의 대표적 실력자로 정평을 얻고 있는 인물들로 그간 북한 내부에서 벌어졌던 보수강경파와 개방 온건파간의 노선 갈등을 감안할 때 이번 인사의 배경과 향후 파급에 크게 주목된다.
북한이 이처럼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진용을 새로 갖춘데에는 제3차 7개년 계획을 완료시한을 1년 앞으로 남겨두고 있는 실정도 작용했으리란 관측이다.
북한은 이 계획을 통해 주민들의 의식주 생활을 완전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와함께 북한의 새 내각이 출범함으로써 남북관계도 차츰 경제분야 중심으로 전개될 수 있으리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 경우 고위급회담 등 정치적 창구외에도 남북 합작,투자유치 등 경제 채널의 가동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