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후보들이 거시적인 정책비전을 제시하기 보다 즉흥적이고 지엽말단적인 지역개발 공약을 남발하고 있다. 어쩌자고 이러는지 알 수 없다. 대통령 선거가 공고되기도 전에 백화점식 시혜성 공약을 발표해서 빈축을 사고있는 민자·민주·국민 등 3당의 대통령 후보들은 중·소도시를 돌며 소규모 다발 유세를 펼치면서 지역이기주의를 부추기는 무분별한 지역공약을 남발,혼탁한 선거분위기를 자초하고 있다.3당 후보돌이 제시하는 선심성 지역 개발공약은 대체로 그 고장출신 국회의원이나 유지들이 건의하는 숙원사업을 앞뒤 생각없이 약속하는 경우가 많다. 그곳 유권자들이 듣기에는 솔깃할지는 모르지만,실제로는 실현성 없는 「공약」들이기 쉬운 것이다.
지난 87년 제13대 대통령선거때만해도 노태우대통령은 3백여개의 지역공약을 제시했으나 그 상당수가 실현되지 못한채 공약으로 끝났다. 후보들도 알고 국민이 무두 아는 교훈이다. 후보자들은 목전이 표를 얻기위해 무분별하게 지역공약을 내세웠다가 그것을 실현하지 못했을때 일어날 주민의 실망과 반발을 두려워해야 한다.
후보들로서는 자업자득일 이런 국민의 욕구분출이 새로운 정치혼란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하는 것이다.
아직은 수도권 등 대도시 결전에 앞선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에서의 초반 유세전인데도 후보를 스스로 사소한 지역공약들에 집착하고 있음은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이를테면 김영삼후보가 강릉속초 4차선 도로의 고성연장과 음성천 복개를,김대중후보가 철도변의 방음벽 설치와 풍납동 불량주택 재개발을,정주영후보가 수인산업도로 확장 등을 각각 「약속」한 것은 자칫 부동산 투기를 부추기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국회의원이나 지방자치 단체에서 해야할 지역개발을 떠맡고 나선 것이라는 비난을 면키 어려운 것이다.
3당 후보는 이밖에 중부권에 대해서 ▲중부내륙 고속도로의 건설 ▲무공해 전자 단지의 조성 ▲중원문화권의 개발 등을 제시,고장의 숙원사업 「해결사」를 자임하고 나섰으며 특히 어떤 후보는 23일의 경기 남부지역 유세에서 수도권 토지규제 완화를 약속함으로써 많은 사람에게 놀라움을 안겨주었다. 개발제한 구역 등에 대한 민원과 부조리가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 완화 여부는 대통령 후보가 공약으로 내세울 문제라기 보다는 범국민적 합의가 전제돼야할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대권을 겨냥한 공당후보의 공약에는 막중한 책임이 따른다. 선심성 지역공약의 남발로 대통령 후보자로서의 신뢰성과 체통을 잃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