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알자회」 사태에 대한 군당국의 신속하고도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 더이상의 파문이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무엇보다도 군의 엄청난 기강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 그러하다.육사출신 일부장교들의 사조직 「알자회」 파문이 일면서 일요일인 15일 각각 1백명이 넘는 37기생(현 소령급)과 40기생(대위급)들이 임지에서 상경,육사에 모여 동기생 총회를 가졌다는 소식이다.
또 42기생들의 모임도 있었다고 한다. 이들 동기회가 미리부터 예정된 모임이었다는 것이고 「알자회」에 관한 논의는 이날의 긴급의제였다고 하지만,국민의 눈엔 그런 모습이 군의 일상적 행동양상과 다르다는 점에서 의아스럽고 불안하게 비치기 마련이다.
실제로 이번 동기생 총회들은 모인 형태나 성격으로 보아 몇가지 평범치 않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중견 장교들이 각각 1백명이 훨씬 넘는 규모로 기별로 동시에 모여 사회적 물의의 대상이된 문제를 토론했다는 것이 일반 법규나 군율에 위배되지는 않는다해도 군인 본연의 자세로 보기 어렵고,또한 보기좋은 장면도 아니라는 점이다.
둘째 몇기생 몇기생이 그런 모임을 가짐으로해서 다른 기에서도 연쇄적으로 그런 모임을 가지려할 것이 분명하므로,그럴경우 동기생 모임의 차원을 넘어 지위체계 문제도 제기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복무중 모든 언행의 기본 근거를 「명령」에 두는 군인,그것도 중견 장교라면 휴일이라해도 떼지어 다니는 모습이 믿음직한 국가간성의 그것으로는 걸맞지 않는다.
셋째 그런 모임을 용인한 지휘부는 만에 하나 군의 명령체계와 기강에 영향을 미칠 불협화와 이견의 위험을 예상했어야 하고,그에 따른 책임도 느껴야 한다는 점이다.
이번 잇단 동기생들의 모임서 논의된 「알자회」 수습문제는 우리 군이 처한 현실에서 볼때 「한번」의 제기로서 족한 것이다. 더 이상의 문제제기는 자칫 각 기별로 각색의 의견속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낭비와 위험을 막기 위해선 지휘부의 확고한 결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실은 이번의 동기생 총회들이 벌어진 것도 지휘부가 원칙에 입각한 분명하고도 단호한 조치를 미뤘기 때문에 유발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국가존립의 최종적 책임을 진 군이기 때문에 특히 군엘리트들은 언제나 사회에 막중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집단이고 그래서 그들의 언행엔 엄중한 책임이 따른다. 그들 나름대로 그만한 책임은 감당할 각오가 되어 있어야 옳고,지휘부 역시 상응하는 문책을 해야 옳다. 한때의 실수로 일생을 좌우하는 고비에 서게할 수 있느냐는 인정론이 있는가 하면 60만 집단 통솔은 일사불란해야 한다는 원칙론도 있는 가운데 지휘부는 군의 유지발전이라는 차원에서 소신있는 선택을 요구받고 있다.
우리는 「알자회」 파문의 뒤편에서 서 있는 상당수 비회원들의 소외감을 중시해야 한다고 본다.
남북한이 냉전해소와 무관하게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가 북측보다 수적 열세에 있으면서도 억지기능을 지니는데엔 군의 공고한 결속과 엄청난 기율이 저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새삼 인식,군율이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지를 생각해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