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헌법적 강압통치야당 “무한투쟁” 맞서/군부·회교세력 정면충돌 불가피62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래 지금까지 정치적 혼란을 거듭해온 북아프리카의 알제리가 급기야는 일촉즉발의 위기상황으로 빠져들고 있다.
취임 6개월도 채 안되 모하메드 부디아프 알제리 국가 최고평의회의장(대통령)이 29일 피살됨으로써 알제리정국은 집권 군부진영과 이슬람구국전선(FIS)등 야당세력간의 정면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사실 92년 들어 알제리 정국은 부디아프 최고평의회의장에 대한 정치테러를 충분히 예견할 수 있을 정도로 긴장과 파행이 계속 되었다.
집권 군부세력의 무자비한 정치탄압에 맞서 FIS 등 모든 야당세력은 결사항전태세를 갖추며 「성전」(지하드)에 나섰기 때문이다.
알제리 군부는 통치대리인으로 내세운 부디아프가 피살된 데 대해 『철저히 배후세력을 파헤칠 것』이라고 공언함으로써 정국주도권 장악을 위한 무력사용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더욱이 할레드 네자르 국방장관과 라트비 벨케이르 내무장관 등 집권세력내 강경파가 이번 사태이후 정치전면에 실세로 등장한 것은 반정부 무자투쟁에 나선 회교 저항세력과의 협상여지를 더욱 좁혀 놓을 것이란 지적이다.
따라서 89년 새 민주헌법채택과 90년 6월 1차 총선을 통해 어느정도 민주화의 기틀을 잡아가던 알제리정국은 이번 사건으로 자칫 내전의 위기로 빠져들 수도 있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말았다.
당초 이란식의 회교혁명노선을 지향해온 FIS 등 알제리 야당세력은 『92년 1월 2차 총선이 취소된 것은 기득권상실을 두려워한 알제리 군부의 탄압때문』이라며 금년내내 폭력투쟁에 나섰다.
FIS 등 야당의 압승으로 확인된 1차 총선결과를 백지화시킨 알제리 군부와 통치대리자 부디아프는 지난 2월 알제리 전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한데 이어 바로 한달뒤에는 반 정부 구심체인 FIS를 해체시키는 극약처방을 내렸다.
주변 아랍국과 프랑스 등 유럽의 이해당사국들이 알제리가 「제2의 이란화」하는 것을 한결같이 원치않고 있는 것도 알제리의 정치난맥상과 무관치 않다.
알제리군부는 민주화에 대한 대외압력이 약한점을 십분활용해 초헌법적 강압통치를 일삼고 있기 때문이다.
석유와 천연가스가 생산되는 등 비교적 풍부한 지하자원을 가진 알제리는 오랜 정치불안정으로 국가경제마저 위태로운 지경에 봉착했다.
물리적 통제력을 장악하고 있는 알제리 집권군부세력과 무한투쟁에 나선 야당측이 대치하고 있는 알제리 정국은 앞으로 당분간 파국적 상황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장현규기자>장현규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