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수들의 현실참여가 늘어나면서 이들의 장래 강단복귀를 보장하는 현행 휴직제에 대한 찬반양론이 가열되고 있다. 지난 3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대학교육」에 기고한 양측의 주장을 요약한다.◎반대/후진진출에 걸림돌/스스로 퇴진이 당연
대학강단을 떠나 정치나 행정에 뛰어든 교수들이 많았으나 대부분 성공하지 못했다.
5·16쿠데타이후 군사정권은 교수들을 정치와 행정에 참여시켰으나 유신헌법과 5공 악법의 기초에도 교수가 동원됐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현실참여를 위해 떠났던 교수가 다시 강단에 돌아오는 것을 반대한다.
전문인으로서의 교수는 현실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도 정·재·관계의 필요에 따라 브레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교수는 한 분야의 전문가나 이론가일뿐 실천가가 아니다.
휴직계를 내고 장기간 캠퍼스를 떠났던 교수들이 강단에 다시 설경우 그들은 학자도 현실참여자도 아닌 어중이떠중이가 되게된다.
대학은 순수해야 하지만 현실참여라는 비순수가 몸에 배인 사람들이다. 그들을 복귀시켜 대학에 「비순수」를 이입시켜서는 안된다.
사회참여를 마치고 대학에 복귀하려는 교수들은 대부분 참여의 실패자들이다.
이들은 스스로 참여를 끝낸 것이 아니라 타의에 의해 설자리를 잃게 된 사람들이다. 이들이 쉽게 복직할 수 있는 휴직제는 「과잉보호」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이 참신성을 무기로 권위를 타파하기 위해 사회로 나갔다면 대학에 남겨진 그들의 자리는 참신한 후진의 몫이 돼야 한다. 참여교수들은 과감히,그리고 당연히 본인이나 대학,사회를 위해 대학을 떠나는 것이 현명한 길이다.<오하근교수 원광대·국어교육학과>오하근교수>
◎찬성/국가발전 참여위해/강단복귀 보장마땅
체제의 정통성이 문제시되던 과거에는 현실에 참여하는 교수는 어용학자라는 낙인이 찍혀 대학발전을 저해하는 걸림돌이 돼왔다.
그러나 오늘날 교수들이 정·재계 및 행정관료 등으로 진출하는 것이 어색하게 보이는 시대는 지나가고 있다.
교수들의 현실참여를 천편일률적으로 매도하기 보다는 교수의 현실참여를 긍정적인 대학의 사회봉사로 간주,캠퍼스에 복귀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휴직제도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전문화시대에 있어서 국가사회는 학문의 전문성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자원의 효용성을 높이고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교수의 현실참여폭이 넓어지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단순히 사회적 지명도가 높은 교수들만이 진출하게 되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대학교수의 현실참여에 대한 객관적이고도 공정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엄정한 평가를 전제로 한다면 대학교수의 현실참여는 오히려 권장돼야 하며 이에따른 휴직제는 마땅히 제도화를 서둘러야 한다.
우리의 학문수준과 실무영역은 서로 원활하게 교호작용을 하기보다는 별개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학문은 방법론상 실제성이 없으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 정치에 참다운 민주주의가 뿌리내리면 현실참여 자체가 문제시 되지는 않을 것이다.<이진복교수 건국대·행정학과>이진복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