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아제한」 의제채택 싸고 선후진국 대립예상/환경비용 부담도 큰 시각차… 합의전망 불투명【뉴욕=김수종특파원】 하나뿐인 지구가 급격히 생명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우려의 소리가 높다.
대략 10년 주기로 10억명씩 늘어나는 인구로 지구의 부존자원은 머지않아 고갈상태에 빠질 위기에 처했고 환경오염은 극에 달해 인류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다.
1800년께 최초로 10억선을 돌파한 지구촌 인구는 현재 55억을 헤아리고 1년 평균 1억명씩이 늘어나는 지금의 증가추세가 계속 될 경우 다음 세기중에는 1백20억 내지 1백50억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끔찍한 전망이 나온다.
인구문제를 비롯해서 지구가 앓고 있는 심각한 환경병의 치유책 마련을 위해 오는 6월 브라질의 리오데자네이로에서는 유엔 주재로 제1회 「지구 정상회담」이 열릴 계획이지만 환경정화를 위해 필요한 막대한 비용염출 문제를 두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가들 사이에 의견차가 심해 이 회담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세계 인구의 5%를 차지한채 지구촌 전체 에너지사용량의 25%를 독식하는 미국마저 거액의 「청소비」를 부담하라는 개도국들의 심한 압력이 있을 것을 예상,부시 대통령의 회의 참석여부 조차 불투명한 실정이다.
그중에서도 인구문제는 가장 예민한 사항이다.
부국의 지도자들이 산아제한을 「지구 정상회담」의 정식의제로 채택하려는 반면 후진국의 정치인들은 여기에 강력한 반발을 보인다. 미국 등 선진국들이 물질적 부를 축적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공해와 자본고갈에 대한 책임은 뒤로 미루어 놓은채 후진국의 인구증가가 모든 환경문제의 근원인양 추궁하는 태도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주장이다.
인구문제를 다루는데 따르는 어려움은 부국과 개도국 사이의 시각차이뿐 아니라 선진국의 탐욕,후진국의 가난,여성의 지위,종교 등 여러 복합적인 요소들이 걸림돌로 작용한다.
「월드워치」연구소의 조디 제이컵슨은 엄청난 인구증가의 90% 이상이 빈민국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이를 근본적으로 시정하기 위해서는 빈곤퇴치와 세계적인 부의 극심한 편재현상이 선결돼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여성지위 향상은 물론 의료혜택에 대한 접근이 보다 용이해져야 할뿐 아니라 산아제한에 관한 종교적 수용폭도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국 인구문제 해결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이다.
그러나 「인구 위기 위원회」의 샤론 캠프는 『환경문제중 우리가 해결책을 찾고 있는 것은 인구문제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여성들에게 출산에 대한 선택권을 되돌려 줄 것과 피임기구의 충분한 보급을 강조했다. 어떤 선택이든 빠른 시행이 있어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