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자원·인력/대만기술·자본/홍콩금융·정보/동남아 국가연합등 블록화 대응/중국과 대만 관계개선땐 급진전중국남부 홍콩 마카오 대만의 중국인 사회를 축으로 하는 「대중화경제권」을 결성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 되고 있다. ASEAN(동남아국가연합)의 자유무역권 계획 등 아시아의 경제블록화에 대응하는 움직임이다. 사회경제 체제의 차이나 정치대립 등으로 「대중화경제권」의 장래는 아직 미지수이지만,장기적인 구상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1월 하순 홍콩에서는 민간단체 주최로 중국 홍콩 마카오 대만의 학자 1백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중화경제협력국제검토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대만 국민당 전 부비서장인 관중씨를 비롯,중국 국무원(정부) 발전연구센터의 이박계 발전연구부장,북경 중국과학원의 주광소원장 등 거물급들이 대거참석,「대중화경제권」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대중화경제권」은 대만이 지난 가을 중국 홍콩 대만을 중심으로 경제공동권을 설립하여 상호경제발전을 꾀해야한다는 계획을 제안하면서 정면에 떠올랐다.
각 지역의 관계자들은 『정치 대립을 약화시키고 중국의 원자재와 노동력,대만의 자본과 경영기술,홍콩의 금융과 정보기능을 일체화한다면 강대한 경제권이 탄생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대중화경제권」 결성의 이점은 매우 크다. 보유외화가 8백억달러를 넘어서는 대만,항만과 정보기능에서는 발군의 능력을 갖춘 홍콩,홍콩과 대만기업의 생산가공기지로 되어가는 중국의 광동성,복건성 등. 특히 광동성은 최근 경제특구인 심천을 시찰한 중국의 최고 실력자 등소평이 「5번째의 용(아시아 신흥공업국)을 목표로 하자」고 말했던 것처럼 개혁·개방노선을 한층 더 강화시키고 있다. 대만과 홍콩으로서는 중국이 개혁노선을 계속 보증함으로써 국제경쟁에서 다른 동남아시아국가보다 유리한 입장을 확보할 수 있어 중국대륙에 대한 투자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도 많다. 중국과 대만관계는 해빙무드가 높아지고 있지만,대만은 아직도 「중국의 대만에 대한 무력행사의 포기」 등을 요구하고 대륙과의 직접무역,직접왕래 등을 금지하고 있다. 또 중국의 선의의 회답이 없는한 삼통(통우·통항·통상)을 허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또 이 구상은 사실상 중국인 경제권 구상으로 이같은 배타성에 경계심을 갖고 있는 화교들도 있다.
「대중화경제권」이 조기에 성립되기는 어렵지만 민족을 분담하고 있는 중국·대만관계가 개선된다면 경제권 형성이 의외로 빨라질 수 있을 것이다.<김주언기자>김주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