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아등 독·오 편입설에 세르비아 「소국」우려 반발/국세사회중재·PKF파견 거부 표현도7개월째 계속되고 있는 유고내전이 극심한 혼미상태로 빠져들고 있다.
유고사태는 지난 6월25일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독립을 선언한 이래 치열한 전투와 휴전을 거듭한 끝에 지난 3일 15번째의 휴전이 발효됐다. 그러나 유고 연방군이 7일 유럽공동체(EC) 휴전감시단원 5명을 태운 비무장 헬리콥터를 격추시킴으로써 또다시 휴전이 무산될 위험이 빠져 있다.
사태 발생 직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비상회의를 열어 유고연방당국을 규탄했고 EC집행위도 이 사건의 책임을 가리기 위한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자국인사 4명이 희생된 이탈리아는 주유고대사를 소환하고 EC외무장관 회담소집을 요청했다.
국제사회의 엄청난 비난에 직면한 유고 연방당국도 격추사실을 시인하고 연방공군 사령관을 정직시키는 한편 즉각적인 조사를 약속하는 등 사태 진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크로아티아측은 크로아티아 영공에서 자행된 공공연한 격추는 사실상의 공격개시를 의미한다고 간주하고 연방군의 휴전준수의지를 의심하고 있다.
연방군의 이번 도발은 유엔평화유지군(PKF)의 파견을 앞두고 일어난 것으로 연방군을 장악하고 있는 세르비아측이 명시적으로 국제사회의 중재와 PKF의 파견을 거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난 12월 스티페 메시치 유고연방 대통령이 『유고연방은 이제 합법성이 없다』고 선언한 뒤 사임한 이래 연방군에 대한 통제가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연방군은 지난 7월에도 휴전명령을 무시하고 크로아티아의 수도 자그레브로 진격,사실상의 쿠데타를 감행하기도 했다.
이같은 사정으로 볼때 국제사회의 관행을 철저히 무시한 이번 사태는 연방군을 비롯한 세르비아 강경파의 계산된 행위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독일이 지난달 23일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를 승인했고 다른 EC회원국들도 오는 15일까지 이들 2개 공화국을 승인할 예정이다. 이렇게되면 마케도니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도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져 세르비아는 6개 공화국중 4개 공화국을 잃고 소국으로 전락할 위험에 빠져있다.
세르비아 진영 내에서도 이같은 대세를 수용하고 이들 4개공을 제외한 몬테네그로와 기타 자치주를 묶어 신유고를 창설해 사태를 마무리하자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대세르비아」를 주창하는 세르비아 강경파는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독일과 오스트리아와 연결된 「대게르만」에 편입된다는 사실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세르비아는 독일이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를 승인하자 「제4제국을 세우려는 음모」라고 독일을 비난하고 나치 치하에서 크로아티아 괴뢰정부에 세르비아인이 학살당한 사실을 상기하고 있다.
세르비아는 또 이들 2개 공화국이 적대세력으로 떨어져 나갈 경우 헝가리,불가리아,알바니아 등의 인접국이 영토분쟁을 재연시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사실 그동안 14차례 있었던 휴전은 우세한 화력을 보유한 연방군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깰수도 있는 성질의 것이었다. 세르비아측이 그동안 반복적으로 휴전에 합의한 것은 점령지역내에 세르비아인들을 이주시키려는 지연전술의 일환이었다. 연방군은 그동안 크로아티아 동부의 전략요충인 부코바르와 아드리아 해안의 자다르 및 두브로브니크 지역을 집중공격,이 지역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전략상 유리하다면 연방군은 언제든지 휴전을 깰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볼수 있다. 또한 현재의 상황은 세르비아가 국제적인 비난을 감수할 만큼 절박한 처지에 있기 때문에 이번 도발에 이은 사태악화가 한층 우려된다.
아무튼 유고 내전은 연방내의 복잡한 민족구성뿐 아니라 역사적 원한이 내재된 인접국들과의 이해관계가 얽히고 설켜 점차 복잡한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송병승기자>송병승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