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연계 후보단일화등 구상/소속단체간 투쟁방향 이견조정이 과제1일 발족을 선언한 「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가칭)은 12개 재야운동단체와 8개 지역운동단체를 망라한 상설재야연합체로 총선과 대선 등 정권교체기를 앞두고 앞으로 시국변화의 중요변수가 될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국연합은 그동안 재야와 학생운동권들이 기존협의체적 연합운동의 한계를 극복,다가오는 92∼93년 정치적 격동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결성됐다.
재야에서 조직개편·통합논의가 시작된것은 지난 6월.
명지대생 강경대군 치사사건이후 5,6월 투쟁을 거치면서 지난 87년 6월이후 최대의 군중동원에 성공,고무되었던 재야는 이러한 분위기가 급랭하고 6월20일 광역의회선거에서 민자당이 압승함으로써 심각한 위기의식에 빠져들었다.
운동실패의 원인을 각 운동단체간의 결집력 부재로 인한 재야의 고질적인 분열때문인 것으로 결론을 내린 각 단체 지도부는 강력한 단일상설단체의 결성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재야는 광역선거직후 각 일선단체 대표자회의를 거쳐 7월말 국민연합대표자 회의에서 정식으로 「상설연합추진위원회」를 발족시켰다.
재야단체 대표들은 이때부터 모두 10차례에 걸친 위원회 모임을 통해 각 단체간의 이견조정작업을 벌였다.
각 단체들은 우선 상설연합체의 위상을 놓고 ▲정치투쟁을 위한 대표체 ▲민생·반독재투쟁 목적의 대중연합조직 ▲기존 전민련과 국민연합조직의 단순 확대,강화 등으로 의견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이안중 3번째 것은 기존의 단순연합체운동의 한계를 답습할 수 밖에 없다는 이유로 일찌감치 제외됐으나 「정치적 대표체」와 「대중운동연합체」론은 팽팽하게 맞섰다.
위상문제는 곧바로 지도체제 구성과도 직결되는 문제로 「정치적대표체」로 규정할 경우 조직의 통일수준을 높일 수 있는 단일지도체제가 필수적이며 후자일 경우 집단지도체제가 보다 효과적이다.
전국연합은 결국 조직의 위상을 「기층대중조직을 중심으로한 민족민주운동의 근간이자 정치적 대표체」로 최종 확정,양자의 절충을 꾀했다. 또 강력한 상설조직을 유지한다는 원칙하에 지도부는 집단지도체제로 운영하고 운동목표도 대중투쟁과 정치투쟁을 동시에 설정함으로써 외견상 이견을 모두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국연합은 이에따라 앞으로 상시적인 대중운동을 펴나가는 한편 상황에 따라 민주·민중당 등과도 연계,야권내 단일후보옹립 등도 구상하는 등 합법·비합법 투쟁공간을 모두 활용해 나간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그러나 전국연합의 위상과 이념이 각 단체의 이견을 융합한 형태가 아니라 산술적으로 집합시킨데 불과,기존 국민연합이나 전민련 등과같은 연합체 조직의 한계를 극복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전국연합이 어느 정도로 각 소속단체간의 이견을 최대한 조정,통일된 힘을 이끌어 낼지는 아직 미지수이다.<김철훈기자>김철훈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