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측엔 경원동결 압력/경제난 당사국들 참여 불가피【베를린=강병태특파원】 아랍이스라엘 관계에 새로운 이정표로 평가되는 마드리드 중동평화 회담의 결정변수는 외교안보 측면보다는 당사국들의 경제적 고리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독일의 권위있는 「경제주간」지 최근호는 이스라엘과 이집트 요르단,시리아 레바논 등이 이스라엘 건국 43년만에 최초로 직접협상 테이블에 나온 주된 동기는 경제적 이해때문이며,협상결실에 대한 기대도 여기서 비롯된다고 분석했다.
이 분석에 의하면 이번 평화회담의 산파역인 미국이 당사국들을 협상테이블에 끌어 낸것부터가 외교적 설득보다는 경제적 압력과 「미끼」를 동원한 결과였다.
베이커 미 미국무장관은 먼저 아랍국들에 대해 8개월간에 걸친 8차례 중동순방을 통해 경제원조 미끼를 성공적으로 활용했다.
요르단의 경우 후세인 국왕이 지난 여름 당초의 거부 자세를 허물고 평화회담 참석을 시사한데는 미국이 걸프전 당시 동결했던 5천5백만달러의 경제원조를 재개하겠다고 밝힌것이 작용했다.
이어 베이커 장관은 마지막 8차 중동순방때 후세인 국왕에게 평화회담 참석대가로 내년중 13억달러의 국제원조를 조성해 줄것을 약속했다. 이와함께 요르단이 평화회담에서 적극적 타협자세를 보이면 미의회가 추가경제원조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혀 경제악화에 허덕이고 있는 요르단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집트의 경우는 이미 걸프전 당시 67억달러의 대미 채무를 탕감해 주었고 91∼92회계연도에 21억달러의 경제 및 군사원조를 제공했다.
이에따라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으로선 미국의 이니셔티브에 적극 호응할 수 밖에 없는 입장이다.
소련의 지원을 받아오던 시리아도 소련의 계속지원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미국의 경제지원 약속에 끌려 회담참가를 결정했다. 비록 미국의 약속은 아직 구두언질에 불과하지만,대이스라엘 강경파인 시라아는 평화회담 참가로 유럽공동체(EC)의 경제제재해제와 2억1천만달러의 재정차관을 얻어냈다. 여기에 미국의 로비가 작용한 것은 물론이다.
아랍과의 협상의지가 없는 이스라엘에 대해서도 생명선과 같은 미국의 경제지원을 동결하겠다는 압력이 동원됐다.
미국은 지난 9월 소련에서 이주하는 유대인들의 이스라엘 정착에 소요되는 1백억달러의 차관제공을 유보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경제침제에 빠져있는 이스라엘에는 소련 유대인 정착사업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 정도의 위협적인 것이었다.
이스라엘 경제는 미국의 막대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20%가 넘는 인플레와 11%의 실업률,47억달러의 연간 재정적자 등 최악의 상황에 몰려있다.
인구 4백50만에 아무런 자원이 없는 이스라엘 경제가 희생,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도는 외부의 투자유치이지만 이 또한 갈수록 줄어들어 지난해에는 1억달러에 그쳤다.
이같은 외부투자유치 부진의 주된 요인은 아랍국들의 대이스라엘 경제봉쇄 조치이다. 21개 아랍연맹은 지난 51년이래 이스라엘과 교역 또는 투자관계를 갖는 기업과는 거래하지 않는다는 경제봉쇄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아랍연맹은 최근 최초로 점령지역 포기 내지는 양보를 조건으로 경제봉쇄 해제용의를 밝히고 있다.
이 봉쇄해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스라엘 중앙은행도 『봉쇄조치가 없으면 이스라엘은 이 지역의 투자 최적지로 부상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이번 평화회담은 이스라엘로서는 경제적으로도 「역사적 기회」가 되고있고 아랍과의 타협을 통해 이 기회를 잡는것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요르단 등 이번 평화회담의 당사자인 주변 아랍국들도 비슷한 처지여서 역사적 타협의 여지는 어느때보다 높은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