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통일 1주년에 관한 기사를 쓰면서 솔직히 기사자체의 의미를 회의해야 했다. 이미 통일을 서둘러선 안된다는 확고한 「교훈」을 얻은 듯한 우리사회를 향해 다른 메시지를 전할 의욕과 자신이 서지 않기 때문이다.이같은 회의는 진보적 통일론을 표방했던 김대중 민주당대표 같은 이 조차 통일의 현장 베를린에서 독일의 경제적 진통을 주된 논거로 『우리도 일시에 완전통일을 이루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고 천명하는 것을 들으며 한층 더해졌다.
우리의 통일행로가 처한 환경이나 방법론 등에 관한 논의를 시비하거나 통일지상론을 외칠 생각은 없다. 다만 통일독일의 경제사회적 진통의 실체를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통일의 기회가 오기도 전에 우리의 통일을 서둘러선 안된다는 「교훈」을 논하는 것은 희극이자 비극이라는 것만은 지적하고자 한다.
통일1주년에 이르러 분명해 졌지만 독일은 통일 비용 부담으로 큰 부담은 안고 있어도 나름대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막대한 동독지원 비용은 어디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독일 땅에 남아 도약의 「황금기반」을 이룰 「미래에의 투자」다. 이 명백한 경제흐름을 외면하는 것은 오해이거나 왜곡이다.
『우리는 서독만한 경제력이 없다』는 주장은 옳다. 그러나 독일과 우리의 경제수준에 차이가 있는만큼 통일비용에도 차이가 있고,당장 남북이 똑같은 수준으로 삼아야만 되는것도 아니다.
어쨌든 『우리도 통일만 되면…』이라던 염원들은 경제적으로도 잘못된 감상이 결코 아니다. 경제논리는 독일이나 우리나 같은 것이다.
최근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너지의 한 논평은 불가피한 과도적 현상인 경제사회적 혼란에 대한 불평을 『통일 축배의 환희를 망각한 숙취호소』라며 『군사적 대치속의 안정이 더 나은 것이었던가』라고 반문했다. 특히 서독사회 일각의 조기통일 반대론을 「자기도취적 현상유지욕」이라고 비난했다.
이 논평이나 『나뉘어져 있는것은 나눔으로써만 극복된다』는 바이츠제커 대통령의 갈파에서 우리가 진정한 교훈을 얻지 못한다면,앞으로도 통일독일의 도약을 지켜보는 구경꾼에 머물수 밖에 없을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