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야권 난제실마리…「대권」등 변수로/신민·민주「대통합」 급진전 안팎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야권 난제실마리…「대권」등 변수로/신민·민주「대통합」 급진전 안팎

입력
1991.09.07 00:00
0 0

◎「소통합」 무산이 상황반전 촉진/양측 명분살린 타협안 끌어내지지부진하던 야권통합이 급진전돼 신민당과 민주당이 당대당의 대통합을 눈앞에 두고 있다. 정발연과 민주당이 합치는 소통합이 무산되자 통합가능성은 바닥세로 떨어졌으나 막후협상에서 민주당을 당명으로 하는 대통합쪽으로 물꼬가 터질 조짐이다.

그동안 갖가지 곡절을 겪어오던 통합이 설현된다면 야권으로서는 3당 합당에 버금가는 정치적 지각변동을 겪게되는 셈이며,이는 주요 선거를 잇달아 앞두고 있는 6공 후반기의 정치구도에 중대변수가 될게 틀림없다.

통합협상이 예상을 깨고 급전의 계기를 갖게된것은 민주당과 정발연 의원들의 결합을 통한 원내교섭 단체 구성,즉 소통합이 명백한 좌절을 겪게된데서 비롯됐다고 할수 있다.

대통합의 현실적 난관을 들어 그 대안으로 추진되던 소통합이 정발연의 「이탈」로 무산되자 역설적으로 분열된 야권구도에 대한 「각성」이 더한층 높아지게된 최근의 사정이 전기를 마련했다고 볼수 있다.

이와함께 통합당사자인 신민­민주 양측이 그간의 각기 주장을 바탕으로 활발한 막후접촉을 통해 이를 접목시킬수 있는 접점도출에 성공했다는 사실도 평가할 만하다.

가장 첨예한 대립을 보였던 지도체제의 경우 공동대표제의 틀을 유지,민주측의 입장이 그대로 반영되면서 김대중 총재를 법적 당대표로 등록키로 한것은 양측의 명분을 동시에 살릴수 있는 적절한 타협안이라고 볼수 있다.

민주당이 공동대표제에 대한 집착을 버릴수 없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비호남,특히 영남지역의 김총재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할수 있어야 한다는 현실적인 이유때문.

따라서 당대표의 법적등록은 김총재로 하더라도 공동대표간 합의에 의한 당무처리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경우 타협점이 성립된다는 것이다.

민주당과 정발연의 소통합 좌절이후 이기택총재의 「결단」이 대통합성사의 관건으로 여겨졌으나 공동대표제가 사실상 수용된다면 이총재가 대세를 받아들인 셈이 됐다.

김총재는 차기대권 고지를 위해 야권통합의 필요성을 누구보다도 절감하고 있는 입장.

김총재가 당무의 「공동운영」에 동의한 것은 상임대표제를 주장해오던데 비해 현저한 후퇴라 할수 있으나 법적대표성을 확보함으로써 야권내의 현실적 장악력에 대한 상징적 의미를 함께 갖출수 있게됐다.

이와함께 대권가도에 치명적 결함이던 지역성의 한계를 극복할수 있게되는 셈이다.

그러나 통합협상의 극적 진전은 최근들어 민주당 내부에서 부쩍 「왕성」 해져온 통합 압력이 이총재를 설득시키게된 결과일 수 있다는 지적이 많다.

여기에는 물론 정발연 인사들이 처음부터 운신의 폭에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는 사실과 이것이 소통합추진의 막바지 단계에서 내부분열로 이어졌던 사정도 적지않게 작용했다.

이같은 상황은 민주당의 통합론자들에게 대통합의 당위성에 대한 입지를 배가시켜주었으며,신민 주류측은 이들과의 집중 접촉을 통해 순수집단 지도 체제에 대한 공감대를 이뤄냄으로써 민주당내 통합기운을 고조시켰다는 후문이다.

특히 민주당내에는 이번의 통합논의가 또 한차례 무산될 경우 차기총선에서 광역선거 참패를 되풀이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극도로 높아졌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기에 광역의회 선거이후 현상태의 야권전열에 대한 심각한 회의와 이에대한 「해답」을 야권통합외에는 뾰족이 발견할 수 없었던 신민당의 현실인식이 가세했다고 볼수있다.

3당 합당이후 지리멸렬의 패배의식에 시달리던 야권이 공생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통합만이 외길 수순이라는 새삼스러운 결론을 확인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현단계의 관건은 이총재의 민주당 내부설득이 어느만큼의 성과를 거두어 내느냐에 달려 있는 것 같다.

실질적인 양당합당의 모양새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60∼70%의신당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총재는 김총재측과 통합원칙에 합의한뒤 영남지역 지구당위원장 등을 상대로 설득작업을 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이 통합방안이 당론화의 공식절차에 올려질 경우 적지않은 파란이 예상되는게 엄연한 현실이다.

현역 의원들의 경우에는 이총재 측근의원들과 서울 출신 의원들이 양당합당에 적극적인 반면,박찬종 김광일 두의원은 노골적으로 반발하고 있어 주목된다.<조재용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