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출하는 소련의 화산재가 곳곳에 날아온다. 한국도 수출대금 등 소련의 빚을 받을수 있을까 걱정하고 있지만 프랑스도 마찬가지다. 성공한 글라스노스트(공개)로 자유는 얻었지만 소련 사람들은 일을 안해 경제는 뒷걸음질 치면서 페레스트로이카는 실패했다.따라서 계속적인 금융수혈이라는 「인공호흡」으로 경제를 유지하기 위해 고르바초프는 그간 서방에 빚을 지는 이외에 방법이 없었던 것 같다.
소련의 대외부채는 「밑빠진 독」이라는 표현에 과히 어긋나지 않게 87년 53억달러에서 현재는 6백억∼8백억달러로 추산되고 있다.
이중 20%는 독일의 빚이지만 프랑스도 2백50억프랑(약 42억달러)이 남아있다.
이것은 89년의 5백40억프랑에서 매우 줄어든 것이지만 프랑스는 작년에도 소련에 「빚갚을 빚」 50억프랑을 제공해야 했다.
프랑스 관계자들이 우려하는 이유 역시 부채승계 등 소련과 공화국의 관계를 설정해줄 연방조약의 시계가 영이고 실권자로 부상한 옐친도 각 공화국에 대해 소련의 묵은 빚을 갚도록 압력을 행사할 수 있을지 의문이기 때문이다.
특히 프랑스 은행들은 폴란드 바웬사가 70년대 기에레크 정권의 빚을 갚을수 없다고 선언했던 최악의 시나리오를 떠올린다. 프랑스는 이라크로부터도 받을 돈이 많지만 막막한 실정이다.
그래서 소련이 묵은 빚 약속을 지키도록 새 빚을 퍼부어야 한다는 「앞으로 도망가기」론마저 나오고 있다. 물론 프랑스의 대소 원조는 강국으로서의 정치적 명제이기도 하지만 그 위험은 정치가가 아닌 국민이 떠맡는다는 현상 유지론이 우세한 것 같다.
소련은 풍부한 자원을 지녔고 고르바초프의 저술대로 「금성에 로켓을 도달시킬 돌출한 기술력」도 지녔지만 슈퍼엔 주부의 장바구니를 채울 물건이 없는 실정이다. 소련의 경제발전은 모두에게 이익이지만 꽤 먼훗날의 얘기 일는지도 모른다.
돌이켜보면 우리도 북방정책의 대가로 소련에서 30억달러의 「청구서」를 받았다. 반면 지금까지 일본은 식량원조 1억달러만을 약속한 것으로 돼있다.
우리의 대소 원조는 「정세안정용+시장개척용」으로 볼수 있으나 못받는 빚은 납세자의 부담으로 귀착된다는데는 우리라고 프랑스와 다를수 없다.
소련에서 쿠데타가 발생하자 『지금까지 콜이 통일을 서둘렀다』고 비판했던 사람들도 『고르비가 집권했던때 통일을 하지않았더라면 큰일 날뻔 했다』며 입을 다물었다. 그런데 쿠데타는 실패했다. 이제 그들은 또 어떤 비판을 할 것인가. 우리의 자화상이 될 수도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