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종교 큰 차이… 존립여부 미지수로/「느슨한 연방」땐 군통수권등 쟁점 산적금세기초 「혁명의 시대」를 개막하면서 웅장하게 군림했던 소련이 연방해체라는 종착역을 향해 줄달음 치고 있다.
소련연방 해체가 소련 소멸까지 갈것인지에 대해 세계는 숨죽이며 새로운 역사의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
쿠데타 분쇄후 소련정치를 주도하고 있는 러시아공화국은 이미 리투아니아·에스토니아·라트비아 등 발트3국의 독립을 승인했으며 소련 제2의 공화국 우크라이나를 비롯해 백러시아 몰다비아 공화국이 잇달아 독립을 선언했다.
역사적 배경과 인종구성상 특별한 위치에 있는 발트3국의 독립시도는 소련에서도 「상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백러시아의 연방이탈 시도는 소련 연방의 존폐까지 예상되는 일대 사건이라할수 있다.
우크라이나와 백러시아는 특히 신연방조약 논의에 동참해 왔기 때문에 이들 공화국의 독립시도는 그루지야와 아르메니아의 독립노력을 가속화 시키고 아제르바이잔·투르크멘·우즈베크공 마저 들썩거리게 하고 있다. 또한 몰다비아공은 소련으로부터의 탈퇴를 넘어 한 핏줄인 루마니아와의 통합 논의마저 제기하고 있어 소련 연방문제는 국제문제로 비화되고 있다.
각 공화국의 독립추구는 1917년 10월 혁명후 러시아 볼세비키들이 민족·종교의 차이를 무시하고 인근 공화국들을 병합했던 역사적 업보가 한 이유가 되고 있다.
1919년 병합된 우크라이나의 경우 73.6%가 우크라이나인이고 러시아인은 21%에 불과하며 같은해 합병된 백러시아 역시 러시아인은 소수에 불과하다. 또한 아제르바이잔·타지크·우즈베크·투르크멘·키르기스·카자흐공 등은 국민 대부분이 이란·터키계 회교도로 인종과 역사를 달리하고 있다.
이처럼 공화국별로 상이한 민족으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민족감정만으로 볼때 연방해체는 순리일 수도 있다. 그러나 경제·국방·대외관계를 고려할 경우 어떤 형태로든 중앙통제,또는 합의기구가 필요하다는 시각도 상당하다.
그러나 지난 39년 독·소간의 비밀협약인 「몰로토프·리벤도르프」 조약에 의해 강제로 소련에 편입된 발트3국의 독립은 불가피할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고르바초프도 「신연방 조약체결」후 연방문제가 일단락되면 발트3국의 독립을 인정하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는 분석이 유력하다.
또한 미 등 서방의 지지마저 받고 있는 만큼 쿠데타 저지 이후의 정국에서 발트3국의 독립은 시간문제일뿐이다.
그렇다면 나머지 공화국들의 운명은 어떻게 될것인가. 극단적인 상황으로 간다면 각 공화국이 별개의 나라가 돼 소비예트 연방이 지도상에서 사라질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소련이라는 큰틀은 유지하되 각 공화국이 상당한 주권을 행사하는 느슨한 연방제나 국가연합으로 결론이 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난 20일 체결예정이었다 쿠데타로 무산된 신연방 조약이 골간이 될것이다.
서방측에서는 이 형태를 영연방과 스위스 연방의 중간 형태가 될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느슨한 연방제로 귀결되더라도 군통제권,화폐발생,대외정책 결정권 등 연방과 공화국간의 쟁점이 산적해 있다.
느슨한 연방제든,완전분리 독립이든간에 소련은 더 이상 과거의 중앙집권 국가일수 없으며 상당기간 체제 정립문제를 놓고 혼란과 갈등을 겪을 것이 확실하다.<이영성기자>이영성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