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팽창주의 재현” 미 우려 불식/미 지원강화·소 유화응답 전망【워싱턴=정일화특파원】 부시 미 대통령은 20일 하오 하루만에 두번째로 기자회견장에 나타나 『오늘은 미국과 소련과의 관계에 있어서 좋은 날이다』(It's good day for USSoviet relationship)라며 상기된 표정을 지었다.
과연 좋은 날이 될 것인가. 소련의 공산팽창세력을 우려해온 미국으로서는 그렇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세계사는 20세기 후반을 동서냉전시대로 기록하고 있다. 이데올로기를 배경으로 한 핵전쟁의 공포시대이기도 하다.
고르바초프는 이 냉전시대의 핵공포를 풀어내기 시작한 장본인이다. 따라서 고르바초프를 밀어내려는 보수주의자들의 쿠데타는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관심을 끌지않을 수 없었다.
부시 대통령은 『쿠데타 실패후의 소련에 대해 미국은 보다 적극적인 경제지원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서방 7개국과 상의해야할 문제이지만 분명히 적극적인 경제지원의 계기가 될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쿠데타진압에 동반자역을 했으며 그만큼 미소간 거리감은 좁혀지게 됐다.
반개혁세력의 마지막 거점일지 모를 야나예프 부통령,야조프 국방장관,크류츠코프 KGB의장 등이 모조리 제거되게 된후 미국여론은 거의 행복감에 도취돼있다.
미국언론들은 이들 보수 강경파들의 쿠데타가 어떻게 실패했는가에 대해 흥미진진하게 열띤 분석을 하고 있다.
미국으로서는 소련 쿠데타의 실패가 부시 대통령의 말처럼 「좋은 날」이 될수밖에 없다.
그러나 소련입장에서 보면 꼭 그런것만은 아니다.
반개혁세력에 의한 쿠데타의 실패는 소련이 안고있는 문제를 더 악화시키는 것을 막았을 뿐이지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이후 떠오른 근본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소련쿠데타가 터졌을즈음 미국을 비롯한 서방측은 우선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이 쿠데타의 성공을 우려했지 소련내부로 보면 이미 이데올로기문제는 지난 얘기이며 그것보다는 경제불안이나 민족주의 등이 당면과제로 떠올라 있었다.
고르바초프가 85년 6월 권좌에 오른이후 지난 6년간 글라스노스트(공개)·페레스트로이카(개혁) 정책을 실시해 오는동안 이미 이데올로기 문제는 해결됐었다.
그러나 취약한 경제는 개인의 자유와 창의에 의한 시장경제원칙에 의해 성장할 수밖에 없다는 것. 각 공화국의 민족주의는 정치적 타협에 의해 해결돼야 한다는 여론이 이미 정착돼가고 있는 가운데 쿠데타가 일어난 것이다.
쿠데타군도 개혁정책을 계속하겠다고 약속했었다.
쿠데타군은 결국 탱크로 민중의 힘을 제압하지 못했다. 때문에 소련 자체로 보면 보수반동세력은 제거했다고 볼수 있지만 쿠데타실패 자체가 소련 내부문제의 해결이나 해결의 전기를 가져온 것이라고는 볼수 없는 것이다.
쿠데타 실패의 결과는 소련의 대외적 문제(팽창주의)가 불식되는 대신 대내적문제를 본격화시켰다고 볼수 있다.
이런 입장에서 보면 쿠데타 이후 미·소 외교가 가야할 방향은 명백하다.
첫째는 소련의 입장.
소련 보수주의자들의 쿠데타실패에 미국을 비롯한 자유민주국들이 크게 안도감을 갖는 이유는 소련이 지난 70년 공산독재사상 세계에 끼쳐온 위협이 너무 컸기 때문이다. 전세계는 이번 쿠데타로 또다시 소련공산 팽창주의시대가 되돌아올지 모른다는 우려를 가졌던 것이다.
쿠데타를 성공적으로 좌절시킨 91년 8월 이후의 소련정치는 놀랍게 변할 것임이 틀림없다.
이런 새 시대를 열어가는 소련은 더이상 세계를 위협하는 팽창세력이 되지 않을 것임을 명백히 선언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 서방측이 갖는 도취감을 존중해야 하며 이를위해 북방사도의 일본 반환문제 같은것도 보다 진지하게 검토될수 있을 것이다.
두번째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측의 입장.
이미 부시 대통령이 밝힌 것처럼 이번 쿠데타실패는 미국 등의 보다 적극적인 대소 지원의 계기가 될것이지만 이 지원이 소련의 국내문제 해결을 위한 순수한 입장에서 행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소련에 들어설 새 정치세력(비록 그것이 고르바초프 일지라도)과 미국을 비롯한 서방측의 정책전개가 어떻게 구체화될지 두고볼 일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