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두 공화국의 일방적 독립선언으로 야기된 유고슬라비아 연방 해체 및 내전위기가 확대양상을 보이고 있다.두 공화국의 선언을 불법으로 규정한 연방정부는 그 즉시 연방결속의 뜻을 같이하는 연방군에게 슬로베니아의 인접 국경을 확보토록 명령했다. 이에 따라 이·오스트리아 국경과 슬로베니아 수도 류블랴나 남서쪽에 위치한 브리니크 주둔 기갑여단 등이 최고의 경계 태세에 돌입,주요 거점을 장악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브리니크는 신생 슬로베니아 공화국군의 훈련소와 공항이 있는 곳이다. 또 독립경축 군퍼레이드를 준비하고 있는 류블랴나 상공에는 전투기가 떠서 무력시위를 벌였다.
올해초부터 불거진 세르비아크로아티아 인간의 유혈 민족분규로 이미 연방군이 곳곳에 배치돼 있는 크로아티아에서는 26일 새벽 독립선언후 최초로 발생한 총격전으로 최소한 7명이 숨지는 유혈사태를 빚어 긴장이 한층 고조돼있다.
이런 가운데 독립선언과 함께 연방군으로부터의 즉각적 탈퇴를 밝힌 슬로베니아는 『어떠한 힘의 행사도 침략행위로 간주,항쟁하겠다』며 강경입장을 견지함으로써 사태해결을 위한 무력충돌의 가능성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군의 비상사태권을 쥐고 집단지도 체제로 운영되는 연방 간부회의가 두 공화국의 독립선언으로 파행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비상사태 선포가 제도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이미 연방군은 분규를 빚고 있는 민족단체 해체 명령을 수행중이어서 이번 사태를 기화로 두 공화국 전역에 비상조치를 확대 적용할 수 있는 길은 언제나 열려있다.
물론 육군 16만5천명,공군 3만3천명 등 21만여명의 병력에 소련제 T72 탱크와 비견되는 M84 탱크와 전투기 등 월등한 화력을 갖춘 연방군이 두 공화국을 무력으로 제압할수 있다는데는 이의가 없다.
그러나 연방군이 무력진압이라는 최후의 수단에 의지할 경우 취약한 군의 구조상 연방군의 와해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게 유고 군사관측통들의 지배적 견해이다.
다민족으로 구성된 연방군의 장교층은 연방 최대공화국인 세르비아 공화국 출신이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나 사병은 유고의 민족분포와 같은 비세르비아계가 70%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방유지 중심세력인 세르비아 공화국의 주도로 연방군 지도부가 사태에 개입하더라도 사병들이 과연 동족에게 총을 겨눌것이냐가 의문으로 남는다. 오히려 연방결속의 마지막 보루인 군내부의 분열은 사태를 완전 파국으로 치닫게할 우려도 있다.
게다가 두 공화국의 탈퇴를 막기위해 연방군이 일시적으로 사태를 장악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이것이 장기적인 보장책이 될수는 없을 것이라는 견해도 만만찮다.
분열을 전제로 한 강경진압의 후유증의 소련의 발트 3국 등 세계 도처에서 여실히 입증되고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강경진압에 의한 점령상태가 계속되면 현재 발칸반도의 현상유지를 위해 두 공화국 독립승인을 거부하고 있는 미소를 포함한 주변국들이 연방에 대한 지지를 철회할 가능성 마저 다분하다. 이 경우 외국차관 단절과 국제적 고립화로 인한 경제압박 가중으로 연방의 붕괴는 필연적이라는 분석이다.<윤석민기자>윤석민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