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의 패인/「정치성 구호」 민심외면/야성 유권자 기권… 공천잡음등 치명타야권의 패배요인으로 우선 지적되는 것은 「민심오판」 설이다.
치사정국의 긴장국면에서 형성된 국민들의 안정에 대한 바람을 읽지못하고 여권에 대한 「몰아세우기」에만 급급하며 긴장을 오히려 고조시킨 전술상의 실책을 야당 스스로도 인정하고 있다. 이때문에 「3당 야합의 심판」 「내각제 개헌저지」 「공안통치 종식」 등의 정치성 구호가 국민들에게 제대로 먹혀들지 않았을뿐더러 여권의 「주민자치 실현」 구호에 눌린셈이 됐다. 이와관련,야권은 유권자와의 직접 접촉기회를 제한하고 있는 선거법 및 선관위의 해석을 문제삼고 있다.
여기에 전통적인 야당의 자금 및 조직상의 열세가 거대 여당의 출현이후 한층 심화된 점도 무시할수 없다.
야권이 신민·민주·민중 재야 등으로 4분 5열 돼있어 야성표의 분산을 초래한것도 패배의 큰 요인이라는 지적이다.
지방색이 그 지역에서는 위력을 발휘했지만 서울의 경우 그렇지 못했다는 점도 신민당의 서울 참패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당초 호남출신의 몰표가 예상됐던 서대문,관악,도봉,마포,영등포,강서지역 등에서의 신민 후보 낙선은 호남세의 이반을 의미한다는게 한 신민당 당직자의 분석이다.
선거에 임박해 등장한 정치·사회적 변수들도 야권에 마이너스 요인이 됐다. 투표율의 저조는 야권이 가장 우려했던 사태였다. 즉 야성이 강한 20,30대와 지식인·중산층이 선거에 활발히 참여해 자신들에게 표를 몰아줄것을 바랐었다. 그러나 결과는 60%를 밑도는 실망스런 것이었다.
선거도중 야권 내부의 복잡한 사정은 야당의 도덕성과 「질서」에 의심을 갖게 만들었다. 신민당의 경우 공천관련 금품수수 의혹과 의원들의 탈당사태에 끊임없이 시달려야 했다.
민주당의 경우 주류와 비주류의 엇갈린 행동이 유권자들을 어리둥절 하게했다.
이기택 총재,이부영 부총재가 분투하는 동안 박찬종 부총재와 홍사덕씨 등 비주류측은 사실상 「열중쉬어」 상태였다.
선거초반 일어났던 정원식 총리서리 폭행사건은 야권엔 둘도없는 악재였다. 그 이전 민주당이 보였던 재야경사적인 장외투쟁은 민주당 지지표의 상당부분을 스스로 떨쳐버린 꼴이 됐다는게 일반적 시각이다.
야권 공천후보들의 자질면에서의 상대적 열세도 짚고 넘어가야할 부분이다.
좁은 인물시장을 4식구가 나눠 가져야 했던 이번 선거에서 일부 야권후보의 「질」은 여당의 좋은 공박거리였다. 야권후보의 직업중 「정치인」 「정당인」이 많았던것은 여권 후보와 뚜렷이 대비됐던 점이다.
야권 패배에 대해 신민당의 박상천 대변인은 『야권 지지성향 유권자들의 대량 기권과 정권·정당에 대한 심판적 성격의 부각에 미흡했던점 등이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민주당의 이부총재는 「미니 정당으로서의 조직력 부족과 여당의 금권,타락선거」,민중당의 장기표 정책실장은 「여당의 돈과 관변선거」를 각각 「불만」으로 제시했다.<신효섭기자>신효섭기자>
◎여의 승인/「정총리 폭행」 호재작용/지역발전 공약제시속 인물·조직 강점
민자당은 자신들도 예상못했던 압승에 놀라워하면서도 유권자들이 「안정」을 원한것이 가장 큰 승인이 된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들이 안정쪽을 택한데는 강경대군 사건이후 계속된 시국불안에 이어 선거운동 시작직전에 터진 정원식 총리서리 폭생사건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부인하지 않고 있다.
결국 야권이 국민들의 안정희구 심리를 읽지못한 반면 민자당은 김영삼 대표를 비롯한 수뇌부의 지원유세때 「거리의 정치」 청산을 역설하고 후보들에게도 이를 주지시킨것이 주효했다는 것이다.
또 유권자들이 인물 중심의 투표성향을 보였음을 감안할때 우리의 정치구조상 여권의 「인적 자원」이 야권보다 상대적으로 풍부한것이 승인으로 꼽힌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선거전이 정당대결로 흘렀다해도 막상 뽑을 인물을 고르다보니 「민자 후보」를 택했다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민자당이 선거전에서 『광역의회 선거는 중앙정치와는 관계없는 지역일꾼을 뽑는 선거』라는 점을 강조하며 중앙정치 바람을 차단하려는 전략을 세운것도 한몫을 했다.
이같은 적극적 전략들 말고도 이번 선거가 여당의 압승아닌 야당의 참패란 지적처럼 야당이 사실상 「졸전」을 치른것이 여당에 반사적 이득으로 작용한 것을 무시할수 없다는 자체분석도 있다.
야권이 분열돼 있었다는 구조적 약점외에도 공천을 둘러싼 탈당사태·헌금시비 등의 잡음과 시국에 대한 강경일변도 대처 등이 야당에는 악재로,여당에는 호재로 작용했다는 풀이이다. 결과적으로 야당의 공천헌금 문제에 대한 검찰의 수사설은 여권의 「의도된 선거전략」으로 해석돼 감표요인이 된게 아니고 야당을 끝까지 물고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는것.
보통 야성향으로 분류되는 젊은층의 대거 기권도 여당에는 유리한 측면이 됐을 것이다. 민자당은 선거 막판에 야권이 『기권하지 않고 선거에 참여하는 것이 야당을 돕는 길』이라고 주장하고 나선것이 야당 바람을 일으키기위한 선거 전략이라고 판단,『부동표는 오히려 여당표』라고 맞받아쳤다. 그러나 선거결과는 역시 기권이 많을수록 여당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당 합당으로 이루어진 여권의 엄청난 힘이 선거결과로 드러났다는 분석도 있다.
야권이 3당 합당을 야합으로 몰아붙이며 이번 선거전에서도 「민자당 해체」를 주요 공세 이슈로 삼았지만 「3당 합당」의 현실적 힘이 선거전에 그대로 발휘됐다는 것이다.
이와관련,현 국회의석 분포에서 민자당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71.9%)이 이번 선거의 민자당 의석비율(65.1%)과 비슷하게 나타난것을 지적하는 소리도 있다.
이는 유권자들의 상당수가 여야 개념을 떠나 지난 13대 총선때 지지한대로 표를 행사한것이 아니냐는 해석이다.
결국 선거결과는 야당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권자들이 3당 합당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게끔 나타났고 역으로 이것이 하나의 승인이 됐다는 분석이 가능하다.<유성식기자>유성식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