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간의 무역마찰이 양측 상호간의 문화쇼크로 복잡해지고 있다. 시비의 대상은 한국의 과소비 억제운동. 윌리엄·아치 미 상공회의소 부회장은 3일 서울 힐튼호텔에서 열린 한미 업계감담회에서 과소비억제운동이 한국국민들에게 수입품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하고 있는것은 사실이므로 이것은 분명 외국수입품에 대한 차별행위라고 못박았다. ▲한국관계 당국은 미국측이 이 문제를 들고 나올때마다 관이 주도한것이 아니며 민의 자발적인 운동이라고 주장,수입억제가 아님을 역설해왔다. 과소비억제 운동에 대한 미국관·민의 항의는 지난해 4월 서울시내 주요 백화점에서 외제상품 코너가 거의 하루밤 사이에 증발함으로써 야기됐던 것. 한미 관계에 악영향을 미침에 따라 지난 연말이후 우리관측에서 오히려 이 운동을 만류하는 등 유의를 해왔다. ◆문제는 우리 민간기관이 순수하게 자발적으로 「과소비억제운동」 「양담배 금연운동」 등등을 전개하더라도 미국관·민이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데 있다. 과거 우리관의 개입관례를 익히 잘알고 있고 또한 현재에도 관의 민간업체나 기관에 대한 영향력이 크다고 믿고있기때문이다. 뭣보다 그들은 한국거래선 아니면 나름대로의 연결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로가 있다. ◆한국인의 의식 구조로는 국민기강의 확립이나 건전한 소비풍토 조성의 정신운동 차원에서 관·민 어느쪽이 주도하든 과소비 억제운동이 하등 이상할 것이 없는 것이다. 어느면에서는 소망스러운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우리의 무역수지는 흑자 5년만에 지난해 18억달러의 적자로 전환했고 올해들어서는 3월말 현재 44억5천만달러로 급증했다. 대미무역수지도 흑자가 격감됐다. ▲한국으로서는 불요불급한 사치성수입은 줄여야 할 입장이다. 미의 반발로 관이나 민이 조직적으로 나설 수 없다. 국민 각자가 알아서 사치성 외제선호를 자제하는 수밖에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