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후보자질 더 높아져야” 66%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후보자질 더 높아져야” 66%

입력
1991.03.28 00:00
0 0

◎본사·MBC 공동 「지자제」 여론조사/광역 “정당무관 후보 지지” 43%/“후보정보 확대·참여의식 고취 보완”도한국일보사와 MBC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기초의회선거 투표마감 직후인 26일 밤 실시한 2차 유권자 전화여론조사 결과는 실제 드러난 투표행위 및 결과를 거의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이번 결과는 본사가 투표일 일주일여 전인 지난 17·28일 양일간 의뢰실시한 1차 유권자의식조사(본보 19일자 보도)에서 나타난 예상투표율(56.7%) 등 투표행위 분석에 일치 또는 근접하고 있어 크게 주목된다.

투표일 전후 2차례에 걸친 여론조사가 현상을 비교적 정확히 대변했다는 사실은 2차 설문에 포함된 광역의회선거관련 유권자의식의 추세를 파악하는 데 많은 점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는 무투표 당선지역을 제외한 전국유권자 7백4명을 상대로 실시됐으며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68.

○…유례없이 저조한 투표율을 기록한 이번 선거양상은 선관위의 공식집계 직전에 실시한 조사에서 이미 예견됐는데 조사투표율 58.2%는 오차를 감안할 경우 실제투표율(55%)를 정확히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투표를 안했다」는 41.8%의 응답자가 지적한 이유는 「정치불신」(22.1%)이 첫째였고 「관심이 없어서」(17.3%) 「마땅한 인물이 없어서」(17%) 순으로 나타나 1차조사 때와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30년 만에 실시된 지자제의 정치사적 의미에도 불구하고 뿌리깊은 정치불신과 무관심에다 제한된 후보자격에 따른 인물부재까지 겹쳐 많은 유권자들이 선거 자체에 등을 돌렸다는 해석이다. 또 「시간이 없어서」라는 등 뚜렷한 이유없는 기권도 적지 않아 비록 광역의회선거엔 정당공천 등이 허용돼 관심유발요인이 크다고 하나 정치권의 쇄신이 없는 한 전반적인 정치불신과 무관심을 해소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30대,고학력,대도시 유권자의 투표율이 평균을 훨씬 밑도는 수준인 것도 유의할 대목.

또 투표한 응답자의 후보결정시기를 보면 「투표일 하루 이틀 전」(29.3%) 「투표당일」(19.5%) 등 49%가 후보를 막바지에 결정한 것으로 나타나 후보관련 정보부족과 후보자간 비차별화문제가 유달리 심각했음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기표한 후보에 관한 정보는 「개인홍보물」(34.8%)를 통해 주로 얻어졌고 「주위사람」(22%) 「합동연설회」(16%) 「선거공보」(10.7%) 등의 순서여서 지명도가 취약한 동네일꾼을 뽑는 기초의회선거운동 방법의 전면적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특히 후보를 총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합동연설회를 통한 정보의존비중이 크게 낮아(서울 경우 9%) 이에 대한 개선책도 필요할 전망.

○…어느 때보다 큰 관심이 쏠렸던 공명선거 여부를 묻는 질문에 55.2%가 「공명했다」고,16.2%가 「공명하지 못했다」고 응답했고 28.3%는 「모르겠다」는 입장을 보여 기존선거에 비해 이번 선거가 비교적 공명하게 치러졌다는 긍정적 평가를 얻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젊은층 및 대재 이상의 학력층,기권한 응답자들을 보면 공명하지 못했다는 반응이 각가 20%를 웃돌아 이번 선거양상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지 않은 불신을 표시했다.

이와 관련,공명하지 못했다는 응답자가 구체적으로 거론한 이유는 「유권자의 시민의식 부재」(32.5%) 「후보자의 불법선거운동」(28.9%) 순이었으며 「관권개입」(21.9%) 「정당개입」(14.9%) 등도 큰 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대학생층과 서울·호남지역 응답자들은 불공정의 가장 큰 이유로 관권개입을 지적해 음성적인 관의 개입에 대한 의혹이 식지 않고 있다.

관심을 끄는 대목은 「유권자 시민의식부족」이 의외로 높게 거론된 점인데 이는 후보자나 관청,정당의 입에 발린 공명선거구호에 식상한 나머지 유권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올바른 선거풍토와 후보선택에 앞장서야 한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이번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의 자질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66%가 「더 높아져야 한다」고 답했고 18%만이 「현수준이면 무방」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는 지역사회운영의 특성을 무시하고 국회의원 출마자격기준을 원용한 지방의회선거법의 결과 상공인 중심의 지역부호가 후보의 대다수였던 선거전양상에 강한 의문을 제기한 것으로 봐야할 것 같다.

○…기초의회선거에 대한 반응을 토대로 「정당공천이 도입되는 광역의회선거에서 지지할 후보」를 묻는 질문에 42.9%가 「정당배경과 무관하게 일꾼을 뽑겠다」고 응답해 큰 관심.

또 「모르겠다」(17%)는 반응 외에 적극적으로 무소속을 지지하겠다는 의견도 8.5%에 달해 현단계에서 개략적으로 볼 때 70% 이상이 후보의 정당공천 배경을 투표행위의 우선기준으로 보고 있지 않음을 보여줬다.

이와 함께 11.5%는 평민당 공천후보를,10.1%는 민자당 공천후보를,7%는 민주당 후보를,3%는 민중당 후보를 각각 지지하겠다고 밝혀 각 정당의 현주소를 간접적으로 대변했다.

정당과 관계없이 후보를 선택하겠다는 응답자는 젊은층과 고학력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

또 광역의회선거시 보완할 점으로는 「후보에 대한 다양한 정보제공」(31%) 「유권자 참여의식 고양」(24.3%) 「광역의회역할홍보」(21.6%) 「전반적 선거분위기 활성화」(15.3%)순. 이는 기초의회선거에서 갑작스런 선거일 결정으로 후보에 대한 정보부족이 심각했음을 반영하는 한편 당국의 과잉공명의지가 오히려 정상적인 후보 홍보활동마저 제약했다는 지적이 포함된 것으로 보여 선거관계법의 현실화문제를 제기했다고 할 수 있다.<이유식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