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장 단임원칙 지켜지면 “대폭”… 최대관심/올 임기만료 임원 행장급 10명 포함 모두 99명/“L·P의원에 선대라” 연줄잡기 심화 양상「행장 중임은 최대한 억제한다」 은행정기주총이 보름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금융계가 인사점치기로 술렁거리고 있다. 더구나 최근 들어 정부가 금융기관장은 단임을 원칙으로 하고 중임을 가급적 피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그러한 원칙의 실행여부가 새로운 관심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올해 임기가 만료되는 임원수는 한은 2명을 비롯,시중은행 42명,지방은행 26명,특수은행 22명,기타기관 7명 등 모두 99명.
이 중에서 은행장급은 김명호 한은부총재,김영석 조흥,송보열 제일,김재윤 신한,안승철 중소기업,이상철 국민,이기웅 충청,이재진 경남은행장과 권태원 신용보증기금 이사장,김성환 금융연수원장 등 10명.
이들이 움직이느냐,안 움직이느냐에 따라 그에 따른 임원 인사폭이 결정적으로 달라지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이들의 거취에 관심의 초점이 모아지게 마련이다.
공교롭게도 10명 중에서 지방은행장 2명을 제외한 8명이 모두 초임.
종전대로라면 별 대과가 없는 한 중임이 관례였기 때문에 금융인사 문제가 거론되기 시작한 초기에는 인사폭이 그리 크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다만 정부의 금융산업 개편조치로 단자사가 은행 증권으로 전환됨에 따라 새로 자리가 몇 개 더 생겨나 인사폭을 다소 넓힐 것이라는 예측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정부가 금융기관장의 단임원칙을 내부적으로 정해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분위기가 대폭 인사 쪽으로 급격히 바뀌고 있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대통령단임제를 금융기관에까지 단순연장한 것이라는 설도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으나 주된 요인은 금융기관의 체질개선을 위해 시도되는 선택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금까지 일반적 관례대로 은행장이 임원을 거쳐 중임까지 하게 되면 통산 15∼17년 가량을 임원으로 재직하게 된다.
80년대 각종 금융사고 탓에 승진이 빨라져 이 정도 기간을 채우고 있는 임원은 별로 없지만 이와 같은 장기간의 임원재직이 은행인사적체를 가속시켜 결과적으로 조직의 노후화를 낳고 있다는 게 금융당국의 분석.
정부의 단임원칙은 지난해 이후 박재윤 위원,이석수 위원 등의 금융통화운영위원들이 무난히 임기내의 활동을 마치고도 의원직에서 물러난 사례에서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고위 금융당국자는 밝혔다.
신한은행의 경우 이미 지난 1일 이사회에서 이재윤 행장의 중임을 내정하는 등 일부 예외도 있고 또 단임방침 관철에 대한 반론도 적지 않게 제기되고 있으나 대폭 인사 분위기인 것만큼은 확실하다.
이번 인사철에는 정치연줄을 통한 힘겨루기가 더욱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금융과 직접적으로 무관한 고위층인사가 제3자의 이력서를 들고 은행 및 관련기관을 찾아오는가 하면 임기만료나 승진의 대상이 되는 임원들이 연줄을 찾아 부지런히 뛰어다니는 것으로 알려져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기도 하다.
은행장들이 매년초 정기주총을 한 번 치르고 나면 몸무게가 3∼5㎏가량 빠지고 머리가 하얗게 셀 지경이라는 게 금융계의 일반적 지적이라고 보면 외부로부터의 온갖 청탁과 간섭의 정도를 짐작하기에 충분하다.
학교를 마치고 입행해 20∼30년간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뛰다 보니 대상자들의 능력이 눈에 띄게 뚜렷이 차이가 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연줄을 동원한 인사가 이뤄져도 정면으로 반박하기가 힘든 실정이고 그것이 연줄에 의한 인사를 온존시키고 있다고 시중은행의 한 임원은 지적했다.
금융계에서 거론되는 연줄로는 단연 TK세력의 L 의원,P 의원 등이다.
두 의원을 비롯한 외부연줄에 관한 얘기들이 사실인지,괜한 소문인지는 보름 후의 주총결과가 말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뿐만 아니라 과연 금융개발을 앞두고 금융기관의 경영진용이 어떻게 짜여질지 주총결과가 관심거리가 아닐 수 없다.<홍선근 기자>홍선근>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