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구도 둘러싼 갈등 불가피/민정계 “3김퇴진" 세대교체론 본격공세/민주계,지자선거 압승발판 「대세론」계획91년 정국은 6공 후반기가 본격화되는 첫해이면서 노태우 대통령이 실질적 통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 마지막 해라는 점에서 여권 내부는 갈등과 혼돈이 어느때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금년 한 해 동안 노 대통령이 구상하고 있는 중장기 정국구도가 서서히 전개될 것이 분명하며 이와 맞물린 대권구도가 어떤 형태로든지 돌출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91년 정국은 지방의회선거 전까지 일단 소강상태를 거치고 나서 지자제선거 이후에야 잠복된 현안들이 수면위로 부상하는 2단계 정치양태를 띨 것으로 예상된다.
민자당의 각 계파가 지난 연말 정기국회 이후 표면상으로는 평온과 안정국면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정상궤도 진입이라기보다는 언젠가 계기만 주어지면 「도전」과 「응전」이 제기될 것으로 보는 것도 그래서이다.
따라서 오는 3월말께 실시될 지방의회선거는 대권구도 향방 및 여권 권력풍향을 가늠할 수 있는 분기점이라고 할 수 있다.
민자당의 각 계파가 특정계파를 공격하지 않거나 갈등을 야기하지 않는 배경도 따지고 보면 지방의회선거를 앞두고 공세의 「고삐」를 당길 경우,명분도 희박할 뿐더러 자칫 선거결과에 악영향을 미쳐 책임문제로 귀결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미루어 지방의회선거 전에는 광역의회 의원 후보의 공천방법 및 절차 등을 놓고 미묘한 갈등이 야기된다 해도 정치득실을 고려,어느 쪽도 공방을 자제할 것 같다.
그러나 지방의회선거 결과가 어떻게 귀결되는 그 동안 물밑서 맴돌던 대권구도는 4,5월께부터 본격화될 것이 분명하다. 현재 민자당은 광역의회선거에서 60% 이상의 안정의석 확보를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는 호남을 제외한 지역에서 80∼90% 이상의 득표를 예상하고 나온 것으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지역에서의 의석분포가 여권의 정국주도향배 추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특히 여권핵심부는 광역의회선거에서 평민당의 「지역적 고립화」를 부각시켜 차기 권력구조 선택에 대한 기존인식을 재고토록 하겠다는 복안을 갖고 있는만큼 지자제선거는 6공 후반기 진로에 전환점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여권이 지난해 「12·27」개각을 통해 노재봉 총리서리 중심의 친위세력으로 「돌파내각」을 구성한 것이나 이미 14대 총선 이후 추진할 「정치질서변혁」에 대비,당정간에 조율을 하고 있다는 사실 등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다시 말해 여권이 구상하고 있는 정치질서변화는 이미 백지화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내각제개헌을 적절한 시기에 다시 추진하겠다는 속셈이다. 최근 노 총리서리가 「정치권력의 비집권화」를 국정의 최우선과제로 선정한 것이나 「개헌 포기」를 선언한 김영삼 대표와 민주계를 제외한 민정·공화계가 「시기선택」을 암중 모색하고 있는 대목 등이 지자제선거 이후를 겨냥한 여권의 기류를 암시하고 있다.
따라서 민자당측에선 박태준·김종필 최고위원이 중심이 되어 「국민과 야당 반대」의 두 고리 중 「한 고리」를 풀려는 행보를 가속화할 것으로 보이며 정부에선 노재봉·서동권·박철언씨의 3각체제를 형성,올 연말까지 분위기 조성 및 지지기반 확충을 막후 조정을 이룰 것 같다.
여권핵심부가 14대 총선 후 개헌을 추진하려는 것은 여권 내부사정상 13대 국회임기중에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나 현재의 3계파 정립체제가 유진된다고 하더라도 14대 총선에서 민주계의 입지가 약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와 비례해서 김영삼 대표의 여권내 위상도 하락될 것이라고 계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권핵심부는 이와 함께 민주계 대도시 출신 일부 의원들의 올 정기국회기간을 전후한 동요와 평민당 내부사정의 변화 등도 변수로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방의회선거가 안정선 확보를 훨씬 넘는 「예상 외」의 「압승」으로 귀결될 경우 여권 2인자 위치를 굳혀가고 있는 김영삼 대표는 명실상부한 당 대표 중심의 정국주도를 명분으로 내세우며 실질적인 당권 확보를 요구할 것이 분명하다.
예컨대 임시 전당대회 소집을 통한 대권후보 조기결정의 「승부수 카드」나 14대 총선공천권 요구(50% 지분) 또는 라이벌세력 포섭을 위한 부통령 제신설의 개헌주장 등을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지자제선거는 여권에 있어 대권 전초전이 될 것이 분명하며 선거결과에 따라 후계구도를 둘러싼 권력투쟁이 예상 외로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다.
반면 김 대표와 민주계가 지자제선거를 계기로 김 대표 「대세론」을 앞세우며 격돌을 시도할 경우 민정계는 이미 여권 내부에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당체질 개선 및 당풍쇄신 기치 아래 「3김퇴진」을 겨냥한 세대교체 공세로 대반격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난해 11월초 김 대표의 「마산행」 때 여권 고위인사로는 처음으로 「3김퇴진」을 제기했던 김종필 최고위원이 지자제선거 이후 어떤 행보를 보일지 주목된다. 이와 함께 지난 연말 50여 명의 민정계 의원들이 송년모임을 갖고 특정인사 대세론의 허구성과 불가론을 정리한 것도 올 상반기의 여권내 이상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의미있는 대목이다.
또 한 가지의 변수는 「연희동 캠프」와는 관계없이 구여권 인사들이 중심이 된 움직임으로 이들의 정치 재기를 위한 정치세력화 여부도 여권의 행로에 적지 않은 돌풍을 예고하고 있다.
여권 내부의 이러한 사정을 감안할 때 91년 정국은 6공 후반기 정국구도와 이와 맞물린 대권구도 향방으로 인해 갈등이 증폭되면서 예측불허의 상황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조명구 기자>조명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