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전초”… 세 확보전 불가피/수에 밀리는 민주계 역전호기 삼을 속셈/민정계선 반 YS일치… 구심점 찾기 고심내각제라는 권력공유 구도를 사실상 「물건너 보낸」 민자당은 93년 대통령선거까지 당권장악을 향한 무한경쟁에 돌입한 셈이다.
집권당의 속성상 「당권=대통령후보=대권」이라는 등식이 그대로 적용될 가능성이 아주 크기 때문이다.
이번 내각제 합의문 유출파문은 당권을 둘러싼 당내 역학관계를 크게 뒤흔들어 놓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김영삼 대표 김종필ㆍ박태준 최고위원 등 민자당내 3대 계파를 대표하는 3인의 당권 향배를 둘러싼 암투,협력과 견제는 어떤 형태로든지 치열해질 전망이다.
합의각서 유출파문을 특유의 야당적 투쟁방식으로 뒤집어 내각제개헌 자체를 유산시킨 김 대표는 노태우 대통령으로부터 「대표 중심의 당운영」이라는 권위를 형식상 부여받았다.
분명 수적으로는 소수파이면서 대표의 위상을 높이는 한편 김ㆍ박 최고위원과의 병렬상태에서 앞서 나가기 시작한 인상이다.
반면 이번 사건이 김ㆍ박 최고위원에겐 상대적인 무력감과 함께 사기 저하를 줄 가능성이 높아졌다.
김 최고위원의 경우는 워낙 당내세력이 약한데다 그가 당위론적으로 집착을 보여온 내각제가 수포로 돌아감에 따라 자신과 공화계의 위상재정립에 일대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그가 내분수습의 와중에서 「3김퇴진론」과 「김 대표 공격」을 들고 나온 것도 이와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박 최고위원도 최대계보인 민정계를 대표하고 있지만 당권을 둘러싼 당내 역할변동 과정에서 노 대통령의 대리인이라는 점 때문에 제한적인 역할 밖에 할 수 없다는 사실이 이번 내분수습 과정에서 실증되었다.
청와대와 민정계가 갖는 미묘한 관계가 그대로 박 최고위원에게 적용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재 민자당의 당권은 당헌상 노태우 대통령에게 집중되어 있으나,엄밀히 따지면 3당 합당의 맥락에서 계파간에 배분되어 균형을 이루어 왔다.
김 대표와 민주계는 합당 때부터 이 구도를 깨어야만 당을 실질적으로 장악할 수 있다는 속셈을 갖고 있었으며,이번 내분수습을 갖고 있었으며,이번 내순수습을 계기로 적극자세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가 마산에서 당무를 거부하며 요구한 「당기강 확립」도 뒤집어 보면 어느 땐가의 당권장악을 위한 복선이라 할 수 있다. 즉 92년의 총재선거나 대통령 지명후보를 따내기 위해선 당내의 경쟁자가 구심력을 갖지 못하게 해야 되고 그러기 위해선 조직을 일원화,「노 총재김 대표」 라인을 하루 빨리 구축할 필요를 느끼는 것이다.
김 대표는 당권 향방을 판가름 짓는 중요한 고비를 ▲지자제 의회선거 ▲14대 총선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92년 전당대회의 총재선거 및 대통령 후보지명 등으로 상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14대 총선공천은 92년 전당대회서의 한판 승부를 건 중요한 고비로 보고 있다. 원내 의석수나 대의원 수에 있어 과반수에 훨씬 못 미치는 민주계로서는 14대 공천을 계기로 계파를 초월하는 김 대표체제 구축의 호기로 삼을 것은 명약관화한 분석이다.
이같이 전개될 당권 경영에 대한 민정계의 대응은 매우 복잡하다. 박 최고위원을 명실상부한 구심점으로 당권을 배타적으로 수호하기엔 너무 미묘한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즉 노 대통령의 안정된 임기를 보장해야 하고 그러려면 노 대통령과 김 대표의 관계가 원만해야 할 판이다. 또 박 최고위원의 개인적 위상으로도 김 대표나 김 최고위원과는 다른 차원에 있는 난점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민정계 중진은 물론 초 재선의원들 사이에 뿌리깊이 박혀버린 「반YS」 의식은 어떤 형태로든 구심점을 찾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김 대표와의 인간관계나 지역적 관계 등으로 일률적으로 분류하기는 어려우나 「정치적 위기감」과 「김 대표의 정치행태」에 대한 거부감으로 김 대표의 당권입성을 견제할 세력은 엄청난 게 사실이다.
민정계는 이같은 분위기를 바탕으로 박 최고위원을 구심점으로 힘을 모으든지 「세대교체론」을 내세우며 새로운 구심인물을 내세우든지 할 수밖에 없다.
이같은 당권 경쟁에서 민정계가 갖고 있는 구심력의 약체는 공화계의 김종필 최고위원과의 「연대가능성」을 높여준다고 할 수 있다. 민정계 중진들로서는 「3김퇴진론의 사석」으로서 김 최고위원의 역할과 김 대표 견제의 「대안」으로서 김 최고위원의 활용가치를 저울질 할 수밖에 없다.
이번 내분을 계기로 김 최고위원이 민정계가 민주계의 중재역을 「포기」하고 반YS를 공공연히하며 박 최고위원을 두둔하고 나온 것도 김 대표와의 동반의 한계를 느꼈기 때문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당분간은 김ㆍ박 두 최고위원의 연합전선이 민정계 중진들의 호응 아래 은연중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김 대표와 두 최고위원과의 상호 견제관계는 노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김 대표가 대통령의 통치기반을 안정시키고 당을 잘 이끌어나가면 대통령이 민정계에 대한 영향력은 커지고 당권 향방은 김 대표에 유리해질 것이다.
그러나 김 대표가 그동안 보였던 정치행태를 계속하면 대통령의 권력누수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고 결국 민정계로 하여금 자구책을 강구하게 만들 것이다.
민정ㆍ공화계 의원들이 『이제 김 대표 하기 나름에 달렸다』고 말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 같다.<김수종 기자>김수종>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