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도 「원자력연구소」 무얼하나/당국 “폐기물 관리ㆍ재활용 연구하는 곳”/주민설득 소홀 드러내정부는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안면도 방사성폐기물처리장계획을 일단 철회했다. 과기처는 과거 방사성폐기물처리장 후보지로 거론됐던 경북 영일,울진 영덕에서 주민들의 강한 반대로 지하수ㆍ지질조사 한 번 못한 채 중단해야 했던 경험이 있어 안면도에서 또 후퇴할 경우,어디에서도 발붙일 곳이 없다는 판단 아래 강행하려 했으나 뜻밖의 강도높은 안면도 주민의 반발로 지역주민들의 이해가 없는 한 계획을 유보키로 결정한 것이다.
당초 정부는 지난 88년말 제221차 원자력위원회에서 오는 95년까지 25만드럼 규모의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영구처분시설을,97년까지 3천톤 규모의 고준위 폐기물(사용 후 핵연료)의 중간저장시설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웠었다. 특히 중ㆍ저준위 폐기물 영구처분장은 지하동굴형으로 89년 건설에 착수,95년 완공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최근까지 건설예정지가 확정되지 않았었다. 이런 차제에 충남의 안면도 종합개발계획에 방사성 폐기물처리장 건설계획을 포함하면 좋겠다는 데 착안,지난 9월 226차 원자력위원회의 동의를 얻어 안면도가 선정된 것이다.
특히 3백만평 규모의 안면읍은 80% 이상인 2백50만평이 도유림이며 나머지 50만평에도 1백여 가구 정도밖에 살지 않아 토지매입이 손쉬울 것이라는 점이 큰 장점으로 작용했다.
과기처는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예상,방사성폐기물처리장 건설외에 안면도에 대덕 연구단지 자매단지인 서해연구단지 건설계획을 구상했다. 이 서해연구단지는 에너지ㆍ자원ㆍ환경ㆍ해양분야의 관련연구소를 유치할 계획이지만 역시 주체는 방사성폐기물의 연구ㆍ관리를 맡게 될 원자력 제2연구소이다.
이점은 투자액 9백억원 중 이미 확보된 5백억원이 바로 방사성폐기물 관리기금이란 점에서 확실해진다.
원자력 제2연구소는 현재 각 원자력발전소와 원자력연구소의 방사성폐기물처리장이 수용하지 못하는 폐기물을 저정ㆍ연구할 기관이다. 현재 각 발전소별로 임시 저장하고 있는 폐기물은 고리원자력발전소의 경우 중ㆍ저준위 폐기물이 9월말 현재 이미 2만2천5백50드럼으로 내년이면 저장용량인 3만2천9백드럼을 넘게 되며 월성ㆍ영광ㆍ울진 등도 현재 용량의 70∼80%에 이르는 등 93년께에는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다.
또 과기처는 원자력사업자인 한전으로부터 원자력 전력량 1㎾H당 1∼1.4원씩 올해 6백67억원,내년 6백85억원의 방사성폐기물사업기금을 이미 확보해놓고 있다.
과기처는 원자력 제2연구소가 방사성폐기물의 중간저장을 하며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게 관리ㆍ재활용할 기술을 연구하는 곳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영구처분장계획은 확정된 바 없다고 밝히고 있다. 영구처분의 개념은 고준위와 중ㆍ저준위를 나눠서 생각해야 한다. 사용 후 핵연료는 핵주기기술개발로 재사용할 수 있으나 정치적인 이유로 우리나라는 아직 못하고 있는 재처리문제도 있어 중간저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방사성 동위원소 이용업체 등에서 나오는 중ㆍ저준위 폐기물도 최근에는 영구처분보다 저장관리의 개념이 도입되어 압축ㆍ소각 및 중성자 조사 등을 통해 폐기물량과 방사능 반감기를 줄여 무해한 것으로 만드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바로 이 연구를 원자력 제2연구소가 맡아 한다는 것이다.
국내 전기소비량의 50% 이상을 원전에 의존하고 있는 국가로서 방사성 폐기물의 발생은 당연한 일이며 폐기물처리장 건설은 필수적이다. 문제는 처리장건설후보지 선정과정에 있다. 즉 폐기물 처리장 후보지를 발표하기 전에 미리 그 지역의 지질학적 조사와 함께 주민의 안정성 여부를 충분히 검토한 후,그 자료를 갖고 주민을 설득,이해를 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조혜련 기자>조혜련>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