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한강제방 복구공사의 주체는 누구인가. 왜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보이는 군과 현대건설 이야기만 나올까.한강제방의 관리자는 건설부 산하 서울지방 국토관리청이다. 재해의 예방,복구 및 관리의 1차적 책임과 권한은 어디까지나 건설부측에 있다.
그런데도 「민관군」중에서 관의 역할은 무엇인지 알 수 없을 만큼 뒷전에 처져 있고 눈에 띄지않는 실정이다. 바로 그점이 복구작업 추진에 차질을 빚게 하고 완료시기의 전망에 혼선을 빚게 하고 있다. 공사를 조직화하고 참여자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기획ㆍ조정기능을 관이 하지 않는 탓이다.
현장사무소 건물 2층의 지휘관실은 13일 하오까지도 빈방이나 다름없었다. 그러던 것이 14일부터 보도진의 출입이 통제된 채 군장성과 현대건설 관계자들의 회의가 잦아져 큰 차질이 생겼음을 직감하게 했다.
14일 밤까지는 복구를 완료하겠다고 장담했던 정주영 현대그룹명예회장은 『생각보다 지연될 것 같다』며 당황한 모습이었고 군장성들도 공사기간에 대한 답변을 회피하기 시작했다.
현대와 군은 강물이 급격히 줄어들자 복구에 별문제가 없다고 판단,공사의 기초가 되는 측량절차를 생략한 채 흙부터 쏟아부었으나 착수 이틀만에 측정한 결과 둑이 유실된 길이는 3백m가 훨씬 넘었고 수심도 8m나 됐다. 또 크게 고려하지 않은 좁은 진입로문제도 결정적 지연요인으로 떠올랐다.
더욱 한심한 일은 건설부 서울지방 국토관리청측이 겉도는 것이었다. 청장 등 직원들은 자주 드러나는 군당국과 현대측의 이견을 조정해 주기는커녕 상황파악도 제대로 하지 못해 『군상황실에 알아보라』 『현대측에 물어보라』는 대답을 되풀이 했다.
현장을 살펴본 전문가들은 한강의 흐름을 볼 때 물이 불어나면 이번에 터진 제방에 수압이 집중될 수밖에 없었다고 진단하고 있어 건설부측이 사전 보강공사에 소홀했던 점도 드러났다.
무엇 때문에 엉덩이를 빼고 쭈뼛거리는지 모르겠으나 이제부터라도 관은 제 기능을 다해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