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혈과 폭력,당대 당의 극한적 대치속에 26개 안건의 변칙처리로 끝난 제1백50회 임시국회의 「마지막 결산」은 야당의원들의 의원직 집단사퇴서 제출로 나타났다.평민 민주와 무소속등 야당의원 80명이 23일 제출한 의원직사퇴서는 13대 국회의 구도에 예측불허의 변화를 불러올 것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야당의원들의 집단사퇴는 지난 65년 한일협정에 반대한 민중당의 윤보선의원등 8명과,79년 10월 김영삼총재의 제명에 항의한 신민당 소속의원 66명 전원의 전례에 이어 이번이 세번째. 의원들의 표현그대로 의원직사퇴는 자폭과 다름없는 마지막의 극한선택임에 틀림없다. 한일 국교정상화 당시 국론의 소용돌이와 야당총재 제명을 서슴지 않았던 유신통치의 말기적 위기등 그 시대 극한 상황의 단면이 야당의원 집단사퇴로 상징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작금의 정치가 표출하는 극한상은 무엇이라고 이해해야 할까. 민자당의 날치기 의사를 폭거라고 규정한 야당측은 자신들의 의원직사퇴가 독재정권에 타격을 가하고 국민에게 희망을 회복시켜 주는 「사명」을 이룰 것이라는 주장이다. 초대여당을 상대로 그 외의 투쟁수단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야당의 자기설명에 대해 야당출신의 김영삼 민자당대표최고위원은 『그런 방식은 독재치하나 정치규제 시절에나 가능한 것』이라고 일축하고 있다.
3당합당이후의 정치에 대해 일정틀의 도덕률로 상대평가를 시도해 보는 일이 난감할 때가 적지 않았던 터지만,여와 야의 작용반작용이 얽혀 절름발이 국회가 초래된 그간의 과정을 돌이켜보면 더더욱 상대적 시비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게 된다. 계산된 단상점거가 빚은 초유의 의사당내 유혈사태나,의석통로에서 해치운 신종날치기등이 모두 새 기록으로 남을 일이었고,이 와중에 시중에는 해묵은 고질인 양김 대결론까지 새삼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여기에 「사퇴정국」의 고리로 걸려있는 국회해산과 총선실시 요구는 위헌논란까지 가세시키고 있는 형편. 지난 임시국회중 소리높던 「국회무용론」이 여야 모두를 향한 냉소적 국민감정의 매서운 표현임을 받아들인다면 정치권의 신뢰회복은 공동의 작업이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