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장몫 관철 소득에 부쩍 여유/야 통합도 주도권겨냥 기선 의도지난 16일의 청와대 영수회담과 1백50회 임시국회 개회를 전후한 평민당의 진로모색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다. 김대중총재는 『6월 임시국회가 대정부질문을 끝내고 본궤도에 오르는 7월초에 가서 야권통합에 대한 복안을 밝히겠다』고 말하고 있고 평민당은 상임위원장 4석배정 관철로 13대 국회의 원구성 정신이 원형보존되었다는 주장아래 원내전략을 가다듬고 있다.
평민당은 영수회담이 아무런 합의점 도출없이 끝났지만 회담자체의 성사에 의미를 부여하는 데는 그렇게 인색한 모습이 아니다.
김총재는 영수회담 결과를 설명하면서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투쟁전열을 정비해 나가자』고 일부의원들의 성급한 강경대응 주장에 제동을 걸었다.
평민당의 이같은 탄력성있는 대응은 이번 임시국회의 최대장애물이었던 상임위원장 배분을 13대 초반대로 관철시키는 「소득」을 얻어냈고 평민당은 이를 『여야관계가 3당합당과 관계없이 1대1로 정립돼 가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애써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임시국회는 지방자치선거법이나 개혁입법 그리고 국군조직법 개정안등 주요쟁점들이 본격적 의제가 되는 회기중반 즉 6월말까지는 일단 순항할 수 있는 안전판을 마련한 셈이다.
평민당은 원내문제에 한고비를 넘기며 장기적 정국구상을 할 수 있게 됐지만 넘어야 할 또 하나의 고비가 있다.
바로 야권통합문제이다.
야권통합문제는 잘만 되면 평민당의 입지가 두말할 나위가 없이 탄탄해지지만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엄청난 자체소모를 감내해야만 되는 양면성이 있는 대목.
따라서 평민당이 극도로 신중한 대응을 서두르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김총재는 지난달 서명파동으로 인해 당내가 뒤숭숭할 때 『영수회담이 끝나면 야권통합에 대한 본격적인 토론회를 갖고 이 자리에서 이에대한 복안을 밝히겠다』고 말해 왔는데 이 와중에서 회담이 두번이나 연기됐다.
김총재는 6월말이나 7월초께 이 약속을 지키겠다고 말하고 있는데 지난 5월보다는 입지가 상대적으로 강화되었다는 게 중론이다. 민주당은 이미 창당을 했고 민연추는 통합문제로 양분되면서 재야는 평민당이 주장하고 있는 3자통합(평민 민주 재야)에 대해 본격적인 호응태세를 갖추기 시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총재는 야권통합 논의가 서명의원들의 주장에 힘입어 자신의 거취문제에까지 확산되었을 때 재야를 통합논의에 동참시키는 3자통합의 구상을 밝혔고 여기에는 재야에 대해 지니고 있는 평민당의 상대적 우위를 십분 활용하겠다는 입장도 깔려 있었던 게 사실이다.
김총재는 18일 저녁 재야인사들에게 영수회담 결과를 설명하는 모임을 가졌는데 여기에서도 야권통합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는 후문이다.
김총재는 영수회담의 「결렬」 분위기를 야권통합논의에 십분활용,통합의 당위성을 부각시키면서 3자통합의 원칙아래 본격적인 구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총재는 이미 민주당과의 통합논의 과정에서 집단지도체제와 경선에 대해서는 수용태세를 밝혔기 때문에 관심의 초점은 역시 3자의 지분문제와 조직책및 대의원 선정기준에 모아지고 있다.
이와관련,한 당직자는 『지분을 미리 정하는 것보다는 문호개방의 원칙아래 조직강화특위등을 구성해 합리적 인선을 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김총재는 통합이 얘기될 때마다 자연스럽게 부상되는 자신의 거취문제에 대해서는 「지금은 이 문제를 논의할 시기가 아니다」라는 생각을 보다 완강히 굳혀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김총재는 사석에서 『내가 마치 대통령병에라도 걸린 것처럼 투영될 때마다 곤혹스럽다』고 말하며 『후보는 대의원들이,대통령은 국민이 정할 문제』라고 성급한 추측에 대한 자제를 거듭 당부하고 있다.
그러나 김총재가 『야권통합은 물론 92년의 대통령후보 단일화를 관철시킬 수 있는 복안을 가지고 있다』고 되풀이 강조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김총재가 지니고 있는 야권통합에 대한 구체적 복안은 7월초가 다가오면서 그 실체를 드러내겠지만 어떤 형태이든 평민당의 「중심성」이 보다 강화되는 방안이 될 것이라는 데는 별다른 이론이 없는 것 같다.<이병규기자>이병규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