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성시험도입을 근간으로 하는 대학입시개선안의 골자가 밝혀졌다. 28일 문교부가 발표한 수정개선안은 지난해 8월30일 대학교육협의회가 제시한 시안에 대통령교육정책자문회의 의견을 가미한 절충안이다.시안때 성격이 불분명했던 적성시험은 대학진학의 적성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문교부는 언어ㆍ수리탐구ㆍ영어 등 3개영역에 대해 「통합교과적으로 고차적사고력을 측정하는 발전된 학력고사」라는 아리송한 말을 쓰고 있지만 9개 학과목을 시험치는 현행학력고사를 축소시킨 「변형된 학력고사」쯤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이 수정개선안에서 눈길을 끄는것은 교과목성적만을 반영하는 현재의 고교내신성적에 교과성적(80%)과 함께 학교생활성적(20%)을 반영토록 한것과 대학이 시행하는 전공기초시험은 대학자율에 맡겨 기초시험을 보지 않을 수도 있게 했으며 적성시험과 대학의 전공기초시험은 같은 날에 실시토록 한다는 것이다. 또 예체능에 국한했던 특기자선발대상영역을 문학ㆍ어학ㆍ수학ㆍ과학분야까지 확대키로 했다는 것은 대담한 시도로 우리는 그것을 긍정적으로 보며 체력장제도 폐지는 잘한 것으로 평가한다. 이 수정개선안이 연말까지 최종 확정되는 과정에 보완되어야 할 부분도 적지 않아 보인다.
적성시험과 전공기초시험을 같은 날로 못박은 것은 대학의 시험관리 편의만 생각했지 수험생들의 고충은 아예 외면한 것으로 적절히 조정되어야 하고 전공기초시험은 의무적으로 해야 적성시험제 도입취지에 맞을 것이다. 고교생의 학교생활성적반영은 자칫 치맛바람을 되살리게 될 소지도 엿보인다. 특히 적성시험,아니 「변형된 학력고사」의 출제범위를 언어와 수리탐구영역에서는 국어와 수학이란 한계를 분명히 하지 않고 사회와 과학등 다양한 교과목에 관련된 소재를 활용한다는 것은 너무 애매모호하다. 시험과목 축소로 인한 고교교육의 입시학원화를 방지하려는 취지는 이해할 수 있지만 출제위원들에 의해 일선고교의 수험지도와 수험생들에게 혼란을 가중시킬 수도 있다는데까지 생각이 미치지 않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어쨌거나 「적성시험(30%) +고교내신성적(40%) +전공기초시험(30%)」의 대학입시개선안이 실시된다 해도 「대학의 좁은문」 해결과는 아무 상관도 없다는 우리의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고교졸업자의 80%가 대학진학을 고집하고 대입탈락자의 60%가 재수를 하는 과열된 고학력지향풍조가 해소되지 않는 한 어떤식의 입시제도를 갖다놔도 문제는 여전히 있게 마련이고 고교의 전인교육은 공염불이 되지 않을 수 없기에 하는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입시제도개선안을 긍정적으로 보는 것은 그것이 학생선발권한을 대학에 되돌려 주기 위한 접근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와 문교부는 실업고교와 전문대학교육을 내실화하는데 교육정책의 역점을 두어 단순히 취업만을 위한 4년제 대학진학자를 줄여가는 것이 대학입시를 둘러싼 근본문제의 해결방안이라는 것을 거듭 상기시키고자 한다. 또 학생선발권한도 대학에 빨리 넘겨 주는 것이 좋고 일률적인 반환이 어렵다면,여건을 갖춘 대학부터 넘겨주는 방안도 권하고 싶다. 이러한 방안은 대학들이 경쟁적으로 내실을 기하게 하는 촉매가 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인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