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거듭되는 대폭락속에 파동조짐을 보이고 있는 증권시장을 더이상 방치해서는 안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정부가 지난해말 중앙은행의 발진력을 동원해서라도 주가붕괴를 막겠다고 나섰던 무모하리만큼 과감했던 긴급처방도 수포로 돌아가고 회심의 숨겨진 마지막 카드라던 「증시안정기금」설치가 발표됐는데도 주가폭락이 가속화되고 있는 「속수무책」의 상황에서 더욱 「증시를 살려야 한다」는 여론이 팽배하고 있다.
증시가 우리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커져 이대로 방치할 경우 치러야할 「사회적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79년 건설주 파동때만해도 증시의 시가총액은 2조6천억원으로 GNP(국민총생산)의 8.4%에 불과했고 투자자도 87만명에 불과해 파동은 증시내적인 잔잔한 파동에 그쳤다.
그러나 오늘의 증시는 시가총액이 82조원으로 GNP의 67%를 차지하고 투자자가 6백만명에 달하며 지난해 1년간 상장기업들이 증시에서 조달한 자금이 21조원으로 은행대출비중보다 높아질 정도로 생산자금의 조달창구로 정착한 것이다.
굳이 수치를 들먹일 필요도 없이 우리 주변에선 1년사이에 퇴직금이 절반으로 줄어들어 애를 태우는 투자자들을 쉽게 만날수 있게됐고 자금줄이 막혀 투자계획을 수정하는 기업들이 하나둘 늘어나고 있다. 만약에 증시파동이 온다면 선량한 투자자와 기업들이 피해를 보면서 국민경제전반에 걸쳐 엄청난 충격이 오고 이에 따른 불안심리는 정치ㆍ사회를 파국으로 치닫게 할 수도 있다.
80년대들어 공들여 닦아온 안정과 성장의 기반을 송두리째 무너뜨리는 치유하기힘든 아픈 상처를 남기는 결과를 초래할게 명약관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더 큰 문제는 주가가 폭락하고 있는 지금 이시간에도 주가하락의 직접적 책임이 있는 정부당국과 증권업계가 자신들이 해야될 일은 다한양 그래서 더이상 손댈게 다 떨어졌다는 방관적ㆍ자포자기적 태도이다.
새경제팀은 부총리를 비롯,재무장관과 증권실무 간부관리들조차 「자율」이라는 명분아래 수수방관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어 너무 안이하게 바라보고만 있는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25,26일의 주가 대폭락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더이상 못믿겠다』는 투자자들의 당국과 업계에 대한 불신감이다.
마지막 기대를 모았던 「증시안정기금」의 뚜껑이 열리자 실효성도 적을 뿐더러 언제 효과가 나타날지도 모른다는 「공자말씀」을 늘어놓았다고 투자자들이 판단한 것이다.
잘되지도 않을 일을 당국과 업계는 잔뜩 부풀려 놓아 마음만 설레게 만들어 놓고는 알맹이 없는 부실 처방안을 내놓은 것이다.
지금은 그럴때가 아니다.
당국도 증권사도 자기능력과 한계를 알고 이를 증시에 공개해야 한다.
적나라하게 대책이 없으면 없는대로,자금이 모자라면 부족한 대로의 실상을 밝혀 투자자와 싱징기업들의 공감을 얻어내야만 더이상의 불행한 사태를 현재 상태에서라도 막아볼 수 있는 것이다.
증권사와 투신사는 12ㆍ12조치이후 계속된 주식매입과 눈덩이처럼 불어난 외상주식으로 주식살 돈이 없으면 솔직히 없다고 해야지 실현가능성도 없이 2조원을 자체 조성하겠다고 운운하는 것은 오히려 불신만 조장하는 일이다.
또 지난 3년동안의 대호황으로 엄청난 부를 축적한게 사실이니 증권ㆍ투신사는 그동안 사들인 부동산을 처분해서라도 더많은 주식매입자금을 조성해야만 한다.
이제는 증권당국이 발벗고 나서야 할때다. 5조원을 퍼부어도 안됐으니 증시자율적으로 하락이 멈추길 기다릴 수밖에 없다며 안이한 모습을 보여서는 안된다.
증권업계가 자구노력에 나서도 증시자체로는 회생하기 힘들다는게 오늘의 대폭락으로 드러났으니 과감하게 수습의 칼을 빼어 들어야만 한다.
부처간의 무관심과 비협조로 흐지부지되고 있는 각종기금등 신규지정 기관투자가가 제대로 증시에 개입할수 있도록 후속조치가 마련돼야한다.
증권업계로만 이루어진 「증시안정기금」은 모든 기관투자가가 참여,확대돼야하고 거래세율을 인하하는 동시에 유상증자등 물량공급의 일시중단조치등을 통해 당국이 「무엇인가」를 하고있다는 자신감을 투자자들에게 심어주어야 한다.【이백규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