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민당료ㆍ통합파 후계싼 갈등/민주 잔류파,야세소멸 영남의 리더십 공백노려/대선 서명파 무소속 가세로 퇴진ㆍ통합압력 가중민정ㆍ민주ㆍ공화의 신당 창당작업이 일정을 앞당겨 가며 피치를 올리고 있는 것과 발맞춰 야권도 재편움직임으로 부산하다. 민주당 잔류의원들을 중심으로 한 신당불참세력들은 무소속및 원외인사들과 함께 신당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평민당은 당내 통합파의원들이 움직이고 있는 가운데 영입작업에 분주한 모습이다.
야권은 김영삼민주당총재가 여권으로 가버림에 따라 당분간은 김대중평민당총재 중심으로 판을 짤 수 밖에 없게됐지만 야권재편의 배후에는 「1김이후」를 노리는 야권중진인사들의 장거리 포석이 숨어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이번 재편에서 「1김이후」의 위치를 굳힐 경우 야권의 「차세대지도자」로서 확고한 입지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때문에 뛰는 이들의 발걸음은 그 어느때 보다도 적극적이다.
○…평민당은 김대중총재가 유일한 야당지도자로 남게 되었다는 주장아래 민주당 잔류의원들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김총재 2선후퇴 요구에 단호한 모습이다.
따라서 「1김이후」를 노린다는 것은 김총재의 도움을 얻어가며 자연스럽게 후계자의 자리를 승계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그러나 김총재의 후계자가 되는 방법을 둘러싸고는 다양한 견해차이를 보이고 있고 이러한 입장이 야권재편에 대한 행보에 그대로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대별해 볼수 있는데 김총재에 대한 충성심을 바탕으로 밀착관계를 유지하는 방안이 하나있고 또다른 하나는 김총재와 때로는 갈등관계까지를 감내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자신의 입지를 넓혀가는 방식이다. 전자는 주로 당료파로는 김총재측근 의원들로 조세형ㆍ김원기의원 등이 꼽히고,후자는 통합파로 불리는 조윤형ㆍ정대철의원 등이 속한다.
여기에다가 최근에는 민주당의 김상현부총재가 시기선택만 남아있지 사실상의 동교동 원대복귀를 선언한 셈이어서 김총재이후를 노리는 대열에 끼이게 되었고 3선의 유준상의원과 2선의 박실ㆍ한광옥의원 등의 야심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조세형의원은 김총재를 속속들이 너무 잘알아 한때 다소 소원했지만 지난 당직개편에서 재선의 핸디캡에도 불구,당3역에 기용돼 또다시 기회를 잡은 셈이다.
김원기의원은 총무를 두번이나 하며 김총재에게 없어서는 안될 사람으로 부동의 위치를 굳혔으며 총무를 그만 둔 뒤에도 어려움에 처한 김총재를 돕기 위해 온 힘을 다하고 있다.
조윤형의원은 유석 조병옥박사의 못다 이룬 꿈을 실현시켜보겠다며 야권통합을 위해 당내 통합파를 이끌고 민주당 중진들과 잦은 접촉을 갖는등 활발한 모습이다.
정대철의원은 평민당의 지역성을 극복할 수 있는 인물로 자신이 적합하며 선친인 정일형박사의 후광과 정치1번지인 서울 중구 출신이란 점등을 간판으로 조윤형의원과 함께 야권통합의 목소리를 빌려 입지를 넓히기에 부산하다.
○…여권으로의 「화학적 변신」에 동참한 민주당 중진의원들은 신당내에서 일단 김영삼총재의 운신과 자신들의 정치입지가 동일티켓이 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새 여건속에서 김총재를 도와 나가는 도정에 설 자리를 상정해야 함을 인정하고 있다.
즉,일정기간 신당내 김총재계보의 확대ㆍ강화전선에 힘을 모아야 할 공동체의 처지. 따라서 계보보스로서의 부상과정 역시 야당으로서의 민주당시절과는 판이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이다.
반면 신당참여를 포기한 이기택 김현규부총재 등 민주당의 잔류중진들은 자신들의 정치생명 연장의 뿌리를 야당의 토양속에 유지해야만 한다는 판단을 내린 것.
야당의 오랜 간판이었던 김총재가 떠난 이후 생긴 야당리더십의 공백을 노리겠다는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이부총재가 김총재의 아성인 부산을 정치적 근거로 삼고 있으며,김부총재가 대구ㆍ경북지역을 본거지로 가꿔온 점을 떠올리면 야당을 선택한 두사람의 계산의 단서를 읽을 수 있다. 대표적 야당세력이 소멸해 버린 두 지역 야당간판의 대를 이을 수 있는 처신일 수 있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평민당과의 신야권통합이 이루어진다 해도 확고한 지역적 기반을 구축한 바탕에서 야권의 차기주자를 넘볼 수 있는 수라고 볼수 있을 것이다.
이부총재가 특히 1노3김퇴진여론을 자신의 세대교체론으로 연결시켜 풀어보려는 경향을 보여왔다는 점도 이같은 맥락에서 지적할 수 있다. 신야당을 추진하는 이들이 비호남세력 규합에 주력하면서 이를 김대중 평민총재의 퇴진압력으로 형성시켜가려는 「전략」으로 볼때 이들의 「양김이후」의 노림수를 알 수 있다.
김상현부총재가 잔류한 것은 이를 불씨삼아 야권통합의 명분을 타고 평민으로의 복귀입지를 모색하려는 심산인 것으로 풀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부총재나 김현규부총재와는 궤를 달리 한다고 할 수 있다.
○…신야권재편 대열에 전ㆍ현 무소속의원들이 가세한 것은 야권에 통합의 압력을 가중시켜갈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들은 특히 지난 87년 김대중ㆍ김영삼 두 김씨의 대통령후보단일화를 위해 마지막까지 동분서주 하던 소위 「서명파」라는 상징성을 아직까지 유지하고 있다.
이철의원이 지난 연말부터 평민ㆍ민주 소장의원들과 야권통합서명운동을 적극 펴왔고,박찬종의원ㆍ홍사덕 전의원이 1노3김 구도청산을 부르짖어 왔다는 점에 비추어 민주당이 소멸한 신야권은 이들에게 성가를 높일 수 있는 장일 수 있다. 이들이 가세된 신야권통합운동은 김 평민총재의 퇴진압력을 더 높일 것이고 이는 이들이 걸어왔던 정치행로의 명분을 확대재생시킬 것이다.
이들은 그동안 제도권내 야당분열의 장본인중의 한사람이었던 김 민주당총재가 거대여당으로 진로변경을 함에따라 김 평민총재가 야권통합의 대결단을 내릴 경우 범야세력단일화와 세대교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전망으로 신야당과 접목하고 있는 것이다.<조재용기자>조재용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