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개혁 거부,정통사회주의 고수” 재천명/최근에는 대학생ㆍ소수민족 중심 시위확산/국민들도 반감조짐… 순식간에 붕괴될 수도「동구의 이단자」로 자처하면서 지난 44년간 스탈린식사회주의를 고수하고 있는 알바니아에 과연 개혁의 바람이 불것인지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근착외지가 최근 보도한 「스탈린주의 고수국」이란 제목의 특집기사에 따르면 현재 세계적으로 스탈린주의를 추종하고 있는 국가는 알바니아 북한 쿠바 미얀마 탄자니아 모잠비크 몽고 베트남등 모두 13개국이다.
이중 알바니아는 지난해 동구의 격변에도 불구,유일하게 개혁을 거부한채 정통사회주의 노선을 추구하며 「폐쇄」를 고집하고 있다.
알바니아정부는 11일 수도 티라나에서 북서쪽으로 1백km떨어져 있는 제2도시 슈코더르에서 소요가 발생,비상사태가 선포됐다는 설을 일축하고 정치ㆍ경제ㆍ군사 등 모든 분야에서 독자노선을 고수할 것을 재천명했다.
알바니아노동당(APL) 기관지 제리 이 포플리트지는 정권 수립 44주년기념일인 11일자 사설에서 알바니아는 현대화된 공업과 농업을 바탕으로 강력한 경제체제를 갖춘 「선진국가」라고 자처하면서,당과 인민들의 이익을 보호키 위해 지금까지 올바른 정책을 펴왔고 앞으로도 이 노선을 견지할 것임을 다짐했다.
이 신문은 이어 85년 집권한 라미즈ㆍ알리아서기장(64)의 정책을 모든 인민들이 지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사설의 배경을 분석하면 그 시기는 차치하고라도 일단 경제난의 심각성과 일부지역에 소요사태가 발생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시인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알바니아인민공화국은 46년 독립이후 반이탈리아게릴라전을 주도한 엔베르ㆍ호자장군이 이끄는 알바니아 노동당이 정권을 장악해왔다.
호자는 48년 스탈리주의를 도입,코메콘과 바르샤바조약기구 등에 가입하고 소련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스탈린 사후 소련내에서의 반스탈린주의와 소련의 경제간섭이 정권의 위협요소로 등장하자 61년 관계를 단절해 버렸다.
알바니아는 또 60년대 중소분쟁을 틈타 중국과 관계를 맺어오다 78년 중월분쟁때 베트남을 지원함으로써 중국과의 관계도 단절된 상태다.
이처럼 「고립무원」정책을 펴온 알바니아는 경제적으로는 동유럽공산국가중 최빈국이지만 식량은 자급자족하고 있고,크롬 구리등 풍부한 천연자원이 중요한 외화획득원이다.
그러나 오랜 폐쇄정책으로 인해 생산성저하 기술낙후 경제불균형 등이 문제점으로 노출되자 지난해 서독등과 경제협력관계를 맺는 등 조심스런 개방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정치적으로는 85년 호자 사후에 집권한 알리아서기장이 독재정책을 그대로 답습,국민들의 개혁요구를 탄압하고 있다.
유고등 동구의 미확인보도에 의하면 지난해 수도 티라나의 대학에서 소요가 있었고,슈코더르시와 코르가시 등에서도 시위가 발생하는 등 젊은 층과 소수민족을 중심으로 탄압에 대항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에 비상사태가 선포된 슈코더르시는 지난 3년간 수차례 시위가 발생했던 반체제운동의 중심지. 3년전에는 시위대가 군부대를 점령하는 등 무장봉기를 기도했으나 탱크를 동원한 특수부대에 진압됐다고 보도됐었다.
개혁요구 시위는 그리스 유고등 이웃나라로 번져 그리스계 알바니아난민 1만여명이 11일 그리스 수도 아테네에서 집회를 갖기도 했다.
알바니아는 인구 3백만명중 70%가 회교를,20%가 그리스정교를,10%가 가톨릭을 믿고 있었으나 67년 「무신국가」를 선포,민족주의 의식의 근절을 시도해왔다.
특히 40만여명에 달하는 그리스계 알바니아인들은 정부의 혹독한 통제로 여행규제 및 그리스어 사용금지 조치를 당하고 있다.
이같은 소수민족의 탄압에 대한 불만과 지나친 내핍생활을 강요당하고 있는 국민들의 반감이 최근들어 서서히 그 강도를 더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동구의 개혁물결이 알바니아의 단단한 철문을 부술 것인지 예측하기 어렵지만 루마니아의 경우를 근거로 알바니아의 개혁은 시간문제로 보는 견해도 유력한 것같다.<이장훈기자>이장훈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