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당구조의 정국운영이 많은 어려움을 안고있다는 것은 지난 1년여 동안의 발자취를 보더라도 이론을 달 여지가 없다. 그러나 4당구조의 운영이 어렵다고 해서 그를 타파하기 위한 정계개편이 오히려 더 큰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없지 않다면 설익은 개편작업은 때를 기다리느니만 못하다고 하겠다.새해들어 정계개편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도 물론 그럴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 4당체제가 이념이나 정책을 바탕으로 해서 생겨난 체제가 아니라 여야 공히 지역당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필연적으로 비효율적이며 불건전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90년대의 새로운 시대상황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조만간 정계개편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것이 곧 급변하는 내외정세에 걸맞는 시대적 요구라는 것도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전제를 밑에 깔아놓고 생각하더라도 요즘 설왕설래되고 있는 정계개편의 윤곽은 너무나 토대가 허술하고 구름을 잡는 것 같은 불투명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민정ㆍ평민ㆍ민주ㆍ공화 모두가 제각기 정계개편에 대한 막연한 구상들을 제시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각자가 구상하고 있는 개편 후의 청사진들이 서로 달라서 한말로 동상이몽이라는 평을 듣기에 알맞다. 4당중 그나마 가시적인 구상을 펴보이고 있는 것이 민주의 김영삼총재라고 하겠는데 그가 내다보고 있는 민주ㆍ공화의 연합세력 구성조차 합당을 전제로 한 것인지,합당이 아닌 단순연합을 전제로 한 것인지 분명하지가 않다. 한가지 확실한 것이 있다면 김 민주가 지자제실시 전의 정계개편을 주장하는 데 반하여 김 평민은 지자제선거 후의 개편을 겨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니까 김 민주는 조속한 4당제의 타파에 뜻이 있고 김 평민은 당분간 현상유지쪽에 더 기울어져 있다고 보겠는 데 색깔론을 들고나온 김 공화가 김영삼총재편을 거들고 있다는 것까지는 분명히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한편 민정이 모색하고 있는 정계개편은 박준규 전대표위원의 산발적인 구상발표에서 엿볼 수 있듯이 「포스트노」에 대비하기 위한 범보수세력의 재결집에 주안점이 있다고 하겠다. 보수연합을 통한 정계개편으로 현재의 소여신세를 벗어나 정국의 주도권을 잡아야 하겠다는 여권의 구상이 3야당수들의 정계개편 구상과 동떨어진 것이라는 것은 두말할 여지가 없을 줄로 안다. 또 비록 김 공화가 4당제 타파를 위한 김 민주의 주장에 동조하고 있다고는 하나 그의 구상은 기본적으로 내각제도입을 전제한 보혁구도에 바탕을 둔 것이라는 점에서 김 민주의 구상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고 보는 것이 옳겠다.
현재 평민ㆍ민주 양당내에는 민주화세력의 규합이 다른 어떠한 정계개편보다 앞서야 한다는 주장이 상당한 세력을 구성하고 있다. 구여와의 연계를 거부하는 강력한 의견때문에 민주당이 공화당과의 합작을 추진함에 있어 당내 컨센서스를 이룩하기가 어려우리라는 것도 쉽게 추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성급한 민주ㆍ공화 합동운동은 당내 일부의원들의 이탈을 초래하여 야권통합파들이 가세한 새 정치세력의 출현으로 낙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같이 복잡하게 얽힌 여야개편문제를 시기가 성숙되기 전에 무리하게 추진하려 하다가는 결과적으로 당리당략이나 사사로운 욕심이 앞선 합종연형이라는 비난을 받게될 우려도 없지 않다고 본다. 이념지향적이며 정책정당적 원칙에 입각하지 않는 정계개편은 자칫 임시방편적인 정략의 산물로 전락할 수 있다. 이것이 정계 개편움직임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소이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