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창작자가 매긴 가격에 산다" 음원 공정거래족 등장
알림

"창작자가 매긴 가격에 산다" 음원 공정거래족 등장

입력
2015.10.08 17:38
0 0

스트리밍서비스·월정액 없앤 플랫폼

이용자 2000∼3000명 달해

바른음원협도 "내년초 서비스 시작"

TV든 옷이든 대부분의 제품 가격은 만드는 회사가 정한다. 제작사가 출고가를 정하면 유통사가 마진과 부가가치세 등을 더해 소비자가격이 형성된다. 그러나 유독 유통사가 가격을 결정하고 월 정액제로 무한정 상품을 팔아 제작사에게 수익을 쪼개주는 방식이 통용되는 곳이 있다. 바로 음원시장이다. 곡을 만든 가수, 기획사는 배제된다. 가수들은 “음반 가격은 제작사가 정하지만 음원은 그렇지 않은 게 아이러니”라고 입을 모은다.

이런 모순을 깨기 위한 가요계의 ‘음원 주권 찾기’ 몸부림이 한창이다. 창작자들이 주도하는 새로운 유통 플랫폼이 잇따르고 있다. 록그룹 시나위 멤버이자 바른음원협동조합 이사장인 신대철은 8일 “창작자가 가격을 정하고 유통 마진도 기존 50%에서 20%대로 낮춘 음원 유통 플랫폼을 늦어도 내년 초엔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창작의 대가가 보장되지 않아 음악업계 붕괴가 심각해지면서 창작자들이 나선 것이다.

보통 멜론 같은 음악사이트에서 음원을 다운로드받을 때 내는 금액은 곡당 600원. 문화체육관광부 음악 사용료 징수 규정에 따르면 이 중 멜론 등 플랫폼업체가 가져가는 비중이 약 40%다. 나머지를 제작자, 저작권자, 가수와 연주자가 나눈다. 유통수수료가 30%선인 아이튠즈 등 해외와 비교해 훨씬 높다. 더 심각한 문제는 국내 음원 매출의 90% 이상이 할인율 높은 월 정액제 상품이라는 점. 정액제에선 음원이 많이 팔릴수록 제작자들에게 돌아가는 단가가 낮아져 평균 1곡 스트리밍에 저작권자에게 0.6원, 가수나 연주자에게 0.36원이 돌아간다.

이 때문에 아예 스트리밍 서비스와 월정액 상품제를 없앤 플랫폼도 나왔다. 지난해 8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새 음악 플랫폼 ‘바이닐’이다. 이 곳에선 창작자들이 직접 가격을 정해 앨범 단위로 음원을 판다. 박준석 바이닐 이사는 “현재 사용자는 2,000~3,000명 수준”이라며 “창작자들에 수익을 돌려준다는 취지에 공감하는 음원 공정거래족들이 주로 찾는다”고 말했다.

음원주권을 찾기 위해 해외시장으로 시야를 넓히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김영민 SM엔터테인먼트 대표는 7일 열린 제1회 한중음악산업포럼에서 “왜 음악만 월 정액제로 판매해야 하는가”라고 이의를 제기하며 “세계 최대 음악 시장이 될 아시아 시장에 창작자가 가격을 책정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고, 거래 규칙을 정할 논의기구를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값싼 월 정액제에 길들여진 소비자를 어떻게 ‘공정한(즉 더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하는) 거래’로 끌어들일지는 쉽지 않은 숙제다. 창작자들에게 더 많은 이익이 돌아가는 건 좋은 일이지만, 가격 저항이 없을 수 없다. 신대철은 “기존 MP3와 달리 훨씬 좋은 음질을 서비스할 수 있는 음원 제작 방식을 확보했다”며 “질로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윤혁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사무국장은 “(엄연히 창작자가 있는) 음원을 공공재로 바라볼 수는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양승준기자 comeo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