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부친 친일 논란에 100쪽 반박 자료 낸 김무성
알림

부친 친일 논란에 100쪽 반박 자료 낸 김무성

입력
2015.10.27 18:15
0 0

일제시대 신문 기사 등 근거로

"애국적 활동 객관적 평가해야"

민족문제硏 "친일파 맞다" 반발

김무성(가운데) 새누리당 대표가 27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국방부와의 당정협의에 앞서 한민구(맨 오른쪽) 국방부 장관에게 장난스레 거수 경례를 하고 있다. 뉴시스
김무성(가운데) 새누리당 대표가 27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국방부와의 당정협의에 앞서 한민구(맨 오른쪽) 국방부 장관에게 장난스레 거수 경례를 하고 있다. 뉴시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27일 부친의 친일 논란에 대해 100여쪽에 달하는 방대한 반박 자료를 내며 적극 해명에 나섰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의 한 축이 되고 있는 부담을 털어내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친일인명사전을 펴낸 민족문제연구소 등 역사연구단체들은 “김 대표 부친 김용주는 친일파가 맞다”고 강력 반발했다.

김 대표 측은 이날 ‘고 김용주 선생의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입장’ 자료를 통해 김 대표 부친의 친일 의혹을 정면으로 부인했다. 김 대표 측은 특히 일제시대 당시의 신문기사 등을 근거로 “김용주 선생의 애국적 활동도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 측은 자료에서 1920~1940년대 조선ㆍ동아일보 등의 보도를 근거로 김용주 전 전남방직 회장이 민족ㆍ애국운동가였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르면 1924년 포항청년회 지육부장으로 ‘독서회’를 만들었다가 이듬해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일본 경찰에 검거됐고, 1927년에는 신간회 영일지회 정치부 간사로 활동했다. 또 1930년대는 각종 기부활동과 함께 포항영흥학교를 인수하고 한글교육을 위한 야학도 개설했다.

김 대표 측은 특히 김 전 회장 친일 행적의 주요 근거인 매일신보 기고문에 대해 “당시 총독부 기관지였던 매일신보가 당사자의 동의 없이 기고문을 싣거나 허위사실을 기사화했다는 기록과 증언이 다수 존재해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김 대표 측은 1943년 아사히신문에 실린 징병제 찬양 광고나 이듬해 같은 신문에 실린 군용기 헌납 독려 광고 등에 김 대표 부친의 이름이 오른 사실 등에 대해선 아무런 해명도 내놓지 않았다. 대신 “모든 일에는 공과가 있으니 객관적으로 평가해달라”고 촉구한 뒤 “김용주 선생을 친일인명사전에 등재하지 않았던 민족문제연구소가 이제 와서 ‘향후 등재하겠다’는 식의 편향성을 보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민족문제연구소는 홈페이지에 아사히신문 광고를 비롯한 기존 연구자료를 다시 게재한 뒤 “김 대표는 부친을 애국지사로 포장하지만 확인 결과 매우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친일행위자였다”면서 “김 대표는 명백한 친일 증거들에 대해 해명부터 하라”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김 대표가 원한다면 검증을 위한 공개토론에 언제든 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동현기자 nan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