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사설] 임박한 美 금리인상, 대비하되 불안심리 경계를

알림

[사설] 임박한 美 금리인상, 대비하되 불안심리 경계를

입력
2015.11.23 20:00
0 0

다음 달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확실해졌다. 존 윌리엄스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난 주말 “금리인상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있다”며 “ 다만 속도는 빠르지 않고 단계적, 점진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시장과 경제전문가들도 연준의 금리인상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시장전문가를 상대로 한 조사에서 금리인상 확률이 92%로 관측됐다고 보도했다. 우리 금융당국도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는 등 미국 금리인상이 금융시장에 미칠 충격과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리인상은 기업과 가계에 위협적이다. 우선 기업은 금리인상으로 자금조달 창구인 회사채 시장이 경색될 경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당장 이번 주 발행할 회사채가 3조원으로 급증했다. 미국 금리 인상 전에 좀 더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을 마련해보자는 것이지만, 최근 들어 신용등급이 높은 기업들조차 회사채 발행목표를 채우지 못하는 상황이다.

가계부채에도 뇌관이 될 수 있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1분기 기준 18개 신흥국 중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4%로 가장 높았다. 이는 선진국의 평균 74%를 웃돌고 신흥국의 2배에 가까운 수치다. 특히 가계부채 1,130조원 중 금리인상에 따른 충격이 불가피한 변동금리형이 770조원에 육박한다. 부동산시장도 된서리를 맞을 수 있다. 물론 미국의 금리 인상이 곧바로 우리 금리인상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양국 금리에 1% 포인트 이상의 여유가 있고 한국은 아직은 경제 기초체력이 튼튼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4,000억 달러에 육박하는 외환보유액에, 불황형이기는 하지만 경상수지 흑자가 수년째 계속되고 있다.

문제는 막상 금리 인상 이후의 심리적 파급효과로, 신흥국에서 자금유출이 급격히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올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외국인의 국내채권 보유잔액이 꽤나 감소했다. 다행히 장기투자가 많아 유출 속도가 완만하다는 것이 그나마 위안이다. 더욱이 미국 금리 인상과 더불어 중국의 경제둔화, 신흥국 경제불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우리 경제가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어쨌든 미국의 금리 인상은 충분히 예견됐던 것이다. 오히려 불확실성이 제거되면서 주식시장은 상승세다. 따라서 과도한 불안 심리 확산은 경계하되, 가계부채 저감 대책과 꾸준한 기업구조조정을 통해 차분히 대비해야 한다. 특히 소득증가 없이 이자 부담이 커질 저소득층에 주목해야 한다. 금융당국이 나서 변동금리 대출의 고정금리 전환을 서두르는 등 가계부채의 선제적 관리가 필수적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