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힘 쓰는 로마 검투사들이 고기 못 먹고 콩으로 연명한 까닭은

입력
2024.05.18 15:00
10면
0 0

[책과 세상]
우타 제부르크 '인류가 차린 식탁'

양고기 스튜 조리법이 문자로 기록될 당시 바빌론은 세계 최대의 도시였다. 게티이미지뱅크

양고기 스튜 조리법이 문자로 기록될 당시 바빌론은 세계 최대의 도시였다. 게티이미지뱅크

"살코기를 사용할 것. 물을 준비할 것. 거기에 고운 가루소금, 말린 보리빵, 양파, 페르시아 샬롯과 우유를 넣어줄 것. 파와 마늘을 잘게 썰어 넣을 것."

기원전 1730년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고대 왕조 바빌로니아 사람들의 '양고기 스튜' 조리법이다. 사회질서 확립을 위해 문자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바빌론에서 쐐기 문자 점토판에 조리법을 기록해 둔 덕분에 약 4,000년의 시간을 이겨내고 현재에 전해진다. 이는 인류사에서 문자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조리법 중 하나다.

음식엔 인류의 역사가 깃들어 있다. 음식이 생존을 위한 영양분 공급원인 동시에 공동체 결속의 수단, 민족의 자산, 계층 구분의 상징 등으로 복합적으로 기능했기 때문이다. 책 '인류가 차린 식탁'은 음식에 얽힌 인류사의 단편을 유쾌하게 설명한다. 1만 년 인류의 역사를 따라 가는 가벼운 미식 기행 같은 책이다.

로마시대의 잘나가는 귀족 집안 잔치에는 기상천외한 음식이 식탁에 올랐다. 구운 멧돼지의 뱃속에 살아 있는 새를 숨겼다가 손님들을 놀라게 만드는 방식이 특히 인기였다. 로마시대의 음식은 다분히 계급적이었다. 계층에 따라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엄격하게 정해져 있었다. 체력 소모가 많은 검투사들은 단백질 섭취가 절실했음에도 비싼 고기 대신 곡류와 콩 종류만 먹었다.

음식은 인류의 욕구를 반영한다. 예컨대 중국 원나라가 기원인 훠궈는 공동체를 만들려는 욕구에서 출발했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밥상과 떨어지지 않으려는 인류의 욕구는 배달 문화를 발전시켰다.

인류가 차린 식탁·우타 제부르크 지음·류동수 옮김·애플북스 발행·292쪽·1만9,800원

인류가 차린 식탁·우타 제부르크 지음·류동수 옮김·애플북스 발행·292쪽·1만9,800원





이혜미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