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문 대통령, 현충일 추념식서 눈물… “애국 앞 보수ㆍ진보 없어”

알림

문 대통령, 현충일 추념식서 눈물… “애국 앞 보수ㆍ진보 없어”

입력
2019.06.06 11:36
수정
2019.06.06 19:21
10면
0 0

6ㆍ25 참전용사 아내 편지 낭독에 끝내 눈물

“기득권 매달리면 진짜 아냐” 상식에 기반한 사회 통합 강조

문재인 대통령은 현충일인 6일 “기득권이나 사익이 아니라 국가공동체의 운명을 자신의 운명으로 여기는 마음이 애국”이라며 “기득권에 매달린다면 보수든 진보든 진짜가 아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극단에 치우치지 않고 상식의 선 안에서 애국을 생각한다면 우리는 통합된 사회로 발전해 갈 수 있을 것”이라며 “그것이야말로 이 시대의 진정한 보훈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현충일 추념식에서는 죽어서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한 6ㆍ25 참전용사 아내의 편지 낭독을 듣다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모식에서 6·25 전장으로 떠난 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남편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김차희(93) 씨의 편지 낭독을 듣다 눈물을 흘리고 있다. 김차희 씨의 남편 성복환 일병은 1950년 8월 10일 학도병으로 입대해 1950년 10월 13일 백천지구 전투 중 전사했다. 현재까지 유해는 수습되지 못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모식에서 6·25 전장으로 떠난 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남편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김차희(93) 씨의 편지 낭독을 듣다 눈물을 흘리고 있다. 김차희 씨의 남편 성복환 일병은 1950년 8월 10일 학도병으로 입대해 1950년 10월 13일 백천지구 전투 중 전사했다. 현재까지 유해는 수습되지 못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해 추념사를 통해 “애국 앞에 보수와 진보가 없다”며 “저는 보수든 진보든 모든 애국을 존경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사람이나 생각을 보수와 진보로 나눠 대립하던 이념의 시대가 있었다”며 “하지만 오늘의 대한민국에는 보수와 진보의 역사가 함께 어울려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령은 이어 “지금 우리가 누리는 독립과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에는 보수와 진보의 노력이 함께 녹아 있다”며 “이제 사회를 보수와 진보, 이분법으로 나눌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누구나 보수적이기도 하고 진보적이기도 하다. 어떤 때는 안정을, 어떤 때는 변화를 추구한다”고 덧붙였다.

배우 김혜수 씨가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모식에서 6·25 전장으로 떠난 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남편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김차희(93) 씨의 편지를 낭독하고 있다. 김차희 씨의 남편 성복환 일병은 1950년 8월 10일 학도병으로 입대해 1950년 10월 13일 백천지구 전투 중 전사했다. 현재까지 유해는 수습되지 못했다. 연합뉴스
배우 김혜수 씨가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모식에서 6·25 전장으로 떠난 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남편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김차희(93) 씨의 편지를 낭독하고 있다. 김차희 씨의 남편 성복환 일병은 1950년 8월 10일 학도병으로 입대해 1950년 10월 13일 백천지구 전투 중 전사했다. 현재까지 유해는 수습되지 못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현충원에 묻힌 한 분 한 분은 그 자체로 역사이고, 애국이란 계급ㆍ직업ㆍ이념을 초월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며 “우리에게 선열들의 정신이 살아있는 한 대한민국은 미래를 향한 전진을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어떤 일이 있어도 조국은 나를 기억하고 헌신에 보답할 것이라는 확고한 믿음에 답하는 것이 국가의 의무”라는 점도 거듭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나라를 위한 일에 헛된 죽음은 없다. 나라를 위한 희생은 공동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명예로운 일”고도 했다. 이어 “우리의 현대사는 돌아오지 않은 많은 이들과 큰 아픔을 남겼다”면서 “우리의 보훈은 아픈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다짐이기도 하다”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제64회 현충일 추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제64회 현충일 추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추념식에는 특히 청해부대 최영함 입항 행사 도중 정박용 밧줄 사고로 숨진 고 최종근 하사의 동료와 유족들도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최 하사를 언급하며 “우리는 지난 5월 24일, 또 한 명의 장병을 떠나 보냈다. 이역만리 소말리아 아덴만에서 파병 임무를 마치고 복귀하는 마지막 순간이었다”며 “국가는 끝내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고인을 국립대전현충원에 모셨다”고 추모의 뜻을 전했다. 그러면서 “오늘 부모님과 동생, 동료들이 이 자리에 함께 하고 계신다. 유족들께 따뜻한 위로의 박수 보내달라”고 당부했다.

이동현 기자 nan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